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별책부록
  1. 2009년 1월호

[대한민국 2030] 통계로 본 한국의 2030년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 인구 4863만명, 4명중 1명이 高齡

崔聖煥   

  • 기사목록
  • 프린트
崔聖煥
⊙ 1956년 대구 출생.
⊙ 고려大 경제학과 졸업, 美 펜실베이니아大 경제학 석·박사.
⊙ 한국은행 조사부·워싱턴사무소 과장, 조선일보 경제전문기자 역임.
    現 고려大 경영전문대학원 겸임교수.
⊙ 저서: <얼굴 없는 대통령> <직장인을 위한 생존경제학>.
취업박람회에 길게 줄을 늘어선 구직자들. 국민소득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고용 없는 성장’,’고용감소형 성장’이 일반화될 지도 모른다.
  “장기적으로 우리는 모두 다 죽는다(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
 
  이 말은 원래 시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는 정부가 재빨리 개입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한 말이다. 시장이 자생력에 의해 원상회복하기를 기다리다가는 아무 것도 못 하고 다 죽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요즘처럼 위기가 급박하게 진전되는 경우에 딱 들어맞는 명언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예측을 전문으로 하는 경제학자들이 20~30년 이상의 먼 미래를 예측할 때도 이 말을 사용하고 있다. 너무 먼 미래의 경우 믿거나 말거나(?)일 뿐 아니라, 막상 그때가 되면 예측 당사자들은 적어도 은퇴를 했거나 대부분은 죽고 없을 것이므로 과감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뜻이다.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07년 세계경제전망보고서에서 한국은 2050년에 1인당 국민소득이 9만294달러로 미국의 9만1683달러에 이어 세계 2위의 고소득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영국은 8만 달러대, 러시아와 캐나다·프랑스는 7만 달러대, 독일과 일본은 6만 달러대로 한국보다 뒤처지고 있다.
 
  한국의 최근까지의 발전경로와 미래의 가능성이 크게 평가 받았다는 점에서 기분이 우쭐해지는 반면 ‘과연 그렇게 될 역량을 우리가 가지고 있을까?’하는 의문도 생기는 것이 사실이다.
 
  2030년이면 앞으로 20년도 더 가야 하는 먼 미래인 데다, 글로벌 경제의 변화무쌍함을 감안하면 예측 자체가 무리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한 가지 한국경제가 추세적으로 발전을 계속할 것이라는 믿음 정도일 것이다. 만약 한국 경제가 일본처럼 10여 년 동안 장기침체를 겪는다거나 아르헨티나와 필리핀처럼 성장이 정체하거나 후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어느 정도 앞을 내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2030년 1인당 국민소득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인구 및 노동력, 경제구조와 경제규모에서 엇비슷하면서 우리나라보다 앞서 가고 있는 나라들의 궤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선진 7개국(G7)이 가장 적합한 나라들이다. 아일랜드와 벨기에, 북유럽 3국 등은 잘살기는 하지만 인구규모가 우리 경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작은 나라들로, 우리 경제와 경제규모는 물론 산업구조, 노동력 등에서 현격한 차이가 나는 나라들이다.
 
 
  ◈ 2030년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 시대 진입
 
  반면 G7을 보면 미국과 일본, 독일의 경우 인구가 각각 3억명, 1억2800만명, 8200만명으로 우리나라와 상당히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는 6000만명 안팎으로 우리나라와 엇비슷하고 캐나다는 3300만명으로 우리나라보다 약간 적은 편이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경쟁상대국으로 봐야 할 나라들은 아일랜드와 같은 强小國(강소국)이 아니라 G7 국가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G7 국가가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에서 4만 달러까지 가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26.0년으로 집계됐다.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自國(자국) 통화인 달러로 표시하기 때문에 환율 문제가 없는 미국의 경우 27년이 소요됐고, 달러표시 국민소득을 구할 경우 환율 문제를 가지고 있는 나머지 6개국도 평균 25.8년으로 두 그룹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환율이 달러표시 국민소득에 단기적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10년, 20년과 같이 중장기적으로 보면 경제의 기초체력(fundamentals)을 잘 반영하면서 움직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요즘 환율이 급등하면서 작년에 1인당 소득 2만 달러를 처음으로 넘어섰다가 올해는 1만8000달러대로 내려앉을 것으로 보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1인당 국민소득을 추정하는 데 환율이 그다지 큰 장애요인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G7 국가들이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에서 4만 달러까지 가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26.0년이므로 1만 달러가 늘어나는 데 평균 8~9년 정도로 잡을 수 있다.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을 2만 달러로 놓고 앞을 내다보면 2015년을 전후해 3만 달러, 2024년을 전후해 4만 달러를 넘어서고 2030년경이면 5만 달러에 근접할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앞서 언급한 골드만삭스의 보고서에서 2025년 우리나라의 1인당 소득을 3만6813달러로 예측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관적이기는 해도 큰 차이는 없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아직은 4% 초중반대이고 2020년대까지 3% 안팎을 유지한다고 보면 G7이 걸린 기간보다 앞서 4만, 5만 달러를 달성할 수 있다.
 
  필자는 2030년경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을 5만~6만 달러로 전망한다. 물론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과 성장속도, 물가상승률, 인구증가율, 환율 등을 다각적으로 감안한 시나리오별 전망이 보다 과학적이기는 하지만 시나리오도 결국 분석자가 선택해야 한다는 점에서 보면 보조적인 절차라고 할 수 있다.
 
 
  ◈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1인당 국민소득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인구와 가구의 변화다. 다행히 이 분야는 통계청이 2050년까지 추정해 놓은 결과가 있다. 통계청의 추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18년에 4934만명을 최고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서고 있다. 2019년부터 해마다 인구증가율이 -0.1~-0.2%에 달하면서 2030년 우리나라 인구는 4863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구가 줄어드는 것과 함께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 그간 많이 거론된 인구구조의 급격한 고령화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에 고령화사회(65세 이상 인구비중 7%)로 진입한 데 이어 불과 18년 후인 2018년에는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비중 14%)로 진입할 예정이다. 이후 8년이 지난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비중 20%)로 진입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다음으로 고령화 속도가 빠른 일본의 각각 24년, 12년에 비해서도 더 빠른 속도다. 이 같은 급속한 고령화는 2020년대에도 계속되면서 2030년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24.3%에 달할 것이라고 통계청은 추정하고 있다. 2007년 현재는 인구 10명 중 1명이 고령인구지만 2030년경에 가면 인구 4명 중 1명 꼴로 고령인구가 된다.
 
  반면 0~14세 인구비중은 2007년 18.0%에서 2030년에는 11.4%로 거의 반감되면서 노인만 득실득실하고 어린이는 찾아보기 어려운 초고령사회로 변해갈 것이다. 이렇게 되면 힘과 근육에 의존하는 제조업 또는 서비스업 사회를 넘어 지식정보사회로 넘어간다 해도 사회의 활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경제 생산성과 잠재성장률도 낮아질 것이다. 이에 따른 역풍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차세대 인력 육성 등 인력수급 계획의 마련, 여성인력의 참여율 제고, 정년연장 및 임금피크제 등에 대한 연구와 도입이 필수적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장기요양, 레저, 주택시장 등 실버세대를 겨냥한 실버산업과 건강 및 의료복지서비스 분야의 확대 및 육성이 필수적인 국가전략의 하나가 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를 뿐 아니라 누구도 가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이 같은 대비에 나서지 않을 경우 엄청난 충격과 손실을 입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버타운에서 체조를 하는 노인들. 고령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실버산업이 부각될 것이다.

 
  ◈ 여성인력의 부상과 고용 없는 성장
 
  우리나라의 고용률은 최근의 60% 안팎에서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는 66~67%대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중인 반면 OECD의 고용률 산정기준은 15~64세 인구 중 취업자 비중을 말한다. OECD 기준으로 우리나라 고용률을 바꾸면 현재의 고용률 60%는 3%포인트 높은 63%가 된다. 같은 기준으로 2020년 고용률을 OECD 기준으로 계산하면 70% 안팎이 되면서 현재의 주요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서게 된다.
 
  산업연구원(2005년, 한국산업의 발전비전 2020)에 따르면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24만개 안팎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요즘 일자리 창출이 10만명 정도에 불과한 것에 비춰보면 쉬운 일은 아니다. 다만 정부와 기업이 일자리 만들기에 서로 협조하는 가운데 고용률이 53%대(OECD 기준)에 불과한 여성의 고용률을 6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전략에 성공하면 어느 정도 목표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노동인력의 고령화에 대응하여 대체인력으로서 젊은 여성인력의 유입은 정보·지식화 시대라는 흐름과도 맞아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성장이 계속되는 가운데서도 고용이 예전처럼 늘어나지 않거나 정체하는 현상, 즉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이다. 최근 들어서는 이 같은 현상이 갈수록 심화·가속화되면서 일부 전문가들은 ‘고용 없는 성장’을 넘어 ‘고용감소형 성장(job-loss growth)’이 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1인당 국민소득이 5만 달러에 달하는 시점에서의 산업구조를 예상해 보면 고용 없는 성장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왜냐하면 산업구조가 고용을 계속 줄여 가는 제조업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서비스업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서비스업 내에서 양극화가 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취업자 수의 증가 추이를 보면 2000년대 초 40만명 이상에서 2005년 이후 30만명 이하로 감소했을 뿐 아니라 2008년 들어서는 20만명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경기가 호조에서 침체로 바뀌는 와중에 일어나는 현상이긴 하지만 고용 없는 성장이 급속히 진전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정부와 기업, 국민의 전방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강성노조의 유연화는 물론 임금피크제, 정년연장, 비정규직 제도의 개선 등 시스템적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
 
 
  ◈ 1인·多문화·장애인 가구 급증
 
  인구 못지않게 중요한 경제적 변수가 가구 수 및 가구당 인원이다. 우리나라의 가구 수는 2007년 현재 1641만 가구에서 2030년에는 1987만 가구로 늘어날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전망이다. 이와 함께 통계청은 1인 가구 비중이 현재의 20.8%에서 2030년에는 23.7%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필자는 우리나라와 주요 선진국의 경험에 비춰볼 때 1~2인 가구의 분화가 더 빠른 속도로 일어나면서 가구 수가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가운데 1인 가구 비중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필자는 2020년에 2000만 가구를 넘어서고, 2030년에는 2050만 가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독신, 노령, 이혼 등으로 인해 1~2인 가구가 크게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1인 가구 비중도 현재의 20.1%에서 2020년에 25.0%, 2030년에는 26~2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선진국의 1인 가구 비중은 독일이 38%로 가장 높고 네덜란드 35%, 일본과 오스트리아가 각각 30%로 뒤를 잇고 있다. 미국은 27%로 선진국 중 비교적 낮은 편에 속하는데 히스패닉과 아시아 이민자들이 계속 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흑인들도 백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인원의 가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과 가족문화가 상당히 다를 뿐 아니라 유교적 정서가 강하다고 보고 2030년 1인당 소득 5만~6만 달러 시대가 되더라도 일본의 소득 3만~4만 달러 시대에 비해 1인 가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본 것이다. 이와 함께 다문화 가구와 외국인 가구도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인구 1000명당 주택 수가 우리나라는 아직도 282채(2006년 기준)에 불과해 주요 선진국의 410~440채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므로 주택을 더 많이 짓되 크기와 지역 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2007년 말 현재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107만명으로 총인구 대비 2.2%를 차지하고 있다. 외국인 비중이 갈수록 늘어나면서 2030년경에는 총인구 대비 4~8%대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전망치가 큰 폭을 가지는 것은 정부의 외국인 노동 정책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 수가 크게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8%대로 늘어난다면 거리에 다니는 사람 10명 중 1명꼴로 외국인이므로 다인종 국가 또는 이민 국가라는 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미 결혼의 10% 이상이 배우자가 외국인일 뿐 아니라 지방(농림어업에 종사하는 남자)의 경우 외국인 여자와 결혼하는 경우가 40%에 달하고 있다. 농어촌 인구가 계속 줄고 있기는 해도 이 같은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장애인도 크게 늘어나고 있어 이들에 대한 국가적·사회적 지원이 늘어나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장애인 출현율(인구 100명당 장애인 수)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4%대를 보이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우리나라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낮은 편이다. 국가별 장애인 출현율은 법정 장애의 범위와 정의가 국가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가 전 세계 장애인 인구 비중을 10%로 잡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앞으로 우리나라의 장애인 인구 비중은 계속 높아질 것이다.
 
휴대폰 매장의 외국인 근로자들. 외국인 근로자들의 증가로 한국은 다인종 국가가 될 것이다.

 
  ◈ 산업구조의 서비스업화 지속과 양극화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는 경제개발이 본격화된 1960년대 초반 이후 농림어업과 제조업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서비스업의 비중은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2030년까지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제조업 비중이 큰 폭으로 줄지 않는 이유는 앞으로도 한동안 우리 경제의 주력 제조업인 철강, 화학, 자동차, 기계, 조선, 반도체, 가전 등이 국내 시장은 물론 세계 시장에서 善戰(선전)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일본과 독일처럼 수출주도형 제조업이 선도산업으로서의 역할을 계속할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일본과 독일은 최근에도 제조업 비중이 20~21%대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제조업 내에서는 반도체와 휴대폰 등과 같은 고기술 및 지식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산업과 중화학공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반면, 기술 및 공정의 해외이전 및 현지생산의 확대 등으로 저부가가치 및 경공업 산업의 비중은 계속 낮아지게 될 것이다.
 

  농림어업의 경우 현재 비중의 절반 이하인 1% 안팎까지 줄어들고 전기·가스·수도업·건설업의 경우에도 조금씩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산업의 서비스업화가 진전되기는 하겠지만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서비스업 비중처럼 크게 높아지지는 않을 것이다. 최근 주요국의 서비스업 비중을 보면 미국이 78%대로 가장 높고 일본이 72%대, 그중 낮은 편인 독일 70%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서비스업 중에서는 도소매·음식·숙박업과 공공행정·국방의 비중은 줄어들고, 운수·창고·통신업과 부동산·사업서비스업은 큰 변화가 없을 것을 예상된다. 반면 금융보험업,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업의 비중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서비스업 중에서도 잘나가는 업종과 그렇지 못한 업종 간의 격차가 크게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고령화 및 고소득시대를 맞아 보건 및 사회복지업과 교육서비스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고성장을 유지해 나갈 것이다.
 

  금융산업의 경우 盧武鉉(노무현) 정부에 이어 李明博(이명박) 정부에서도 新(신)성장동력으로 인식하면서 아시아의 선도시장으로 키우겠다는 비전을 밝히고 있어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 구조가 서비스업화하는 데다 제조업의 고용비중은 기계화·자동화 등으로 급속하게 줄어들면서 서비스업의 고용비중이 현재의 66%대에서 75%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서비스업 중에서는 도소매·음식·숙박업, 공공행정·국방 부문의 고용은 큰 변화가 없거나 줄어드는 반면 운수·창고·통신업,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의료서비스업의 고용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다. 다만 금융업의 경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산업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급속히 늘어나는 반면 고용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아지면서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산업은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이 분야의 고용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다. 사진은 외환 딜러.

 
  ◈ 한국 경제의 글로벌화
 
  현재 우리나라의 글로벌화 수준은 크게 뒤떨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제규모는 세계 12~13위로 올라왔지만 글로벌화 수준은 30위권(2007년 AT커니 글로벌화 지수)에 머물고 있다. 또 그간 동북아 금융허브를 만들겠다고 목소리를 높여 왔지만 글로벌금융센터 지수(GFCI)에서 서울은 51위에 불과하다.
 
  글로벌화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는 크게 세계무역, 해외직접투자(FDI), 국경간 인수합병(M&A), 자유무역협정(FTA)을 들 수 있다. 이 중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잘하고 있는 부분은 무역뿐이다. 나머지 FDI, 국경간 M&A, FTA에서는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크게 뒤지고 있다.
 
  FDI 잔액이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우리나라는 유입잔액과 유출잔액이 각각 8.0%와 5.3%에 불과하다. 이는 전 세계 평균 25%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뿐만 아니라 국가별 M&A 순위도 30위권이고, FTA 분야 역시 전체 무역량에서 FTA 체결국과의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에서 보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할 수 있다. 전 세계 교역 중 FTA 비중이 60%인데 비해 우리나라 교역 중 FTA 비중은 11%(칠레, 싱가포르, EFTA, ASEAN 포함)에 불과하다. 다만 한·미 FTA가 양국 국회의 비준을 거쳐 발효될 경우 상황이 크게 호전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보유자원은 거의 없이 수출을 성장의 주력엔진으로 하고 있는 나라로서 글로벌화에 적극 동참해야 하고, 또 글로벌화에 성공해야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화에 성공한 2030년의 한국 경제는 지금과는 크게 다른 모습일 것이다. 공장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뿐 아니라 사무직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크게 늘어나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외로 나가서 직장을 구하는 경우도 크게 늘어날 것이다.
 
터키 이스탄불에서 삼성전자의 신제품 출시를 알리는 공연을 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글로벌화는 계속될 것이다.

 
  ◈ 전자상거래와 재택근무의 확산
 
  이때 영어가 문제 되겠지만 초·중·고 교육제도 및 영어교육시스템의 획기적 변화를 통해 영어가 제2의 공용어가 되다시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가 향후 20여 년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유럽의 스웨덴과 핀란드, 노르웨이, 네덜란드와 같은 국제화 도시국가가 되느냐 아니면 변방의 이름없는 나라로 전락하느냐가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앞서가고 있는 인터넷 등 IT 인프라를 활용하는 전자상거래 및 재택근무가 크게 활성화될 것이다.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는 전자공간(cyberspace)상에서 이뤄지는 모든 거래행위를 의미하는데, 상품과 서비스의 구매는 물론 광고와 주문 또는 발주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자상거래를 이커머스(e-commerce) 또는 이비즈니스(e-business)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자상거래는 처음 시작된 제조업의 부품조달 분야는 물론 무역, 금융 등 전 업종으로 확산될 것이다. 특히 전자상거래는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예상한 프로슈머(Prosumer)의 증가에도 큰 매개체 역할을 할 것이다. 프로슈머는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참여형 소비자로, 특히 소비자가 제품생산에 일정부분 기여한다는 뜻이다. 각종 셀프서비스 또는 DIY(Do It Yourself)형 제품개발은 물론 유통과정에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는 것이므로 전자상거래와 잘 맞아떨어지는 거래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지식정보산업의 경우 전자상거래를 통한 프로슈머의 역할이 앞으로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는 수천년 동안의 전통적인 시장의 개념을 획기적으로 바꾸게 될 것이다.
 
앞으로는 IT를 활용한 재택근무가 확산될 것이다. 출근하는 현대중공업 근로자들.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는 최근 매년 20% 안팎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명목국내총생산(GDP) 대비 전자상거래 비중이 2001년 19.1%에서 2007년에는 57.3%로 상승했다. 앞으로도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서 2030년경에는 GDP 대비 전자상거래 비중이 100%를 웃돌 것이다.
 
  전자상거래는 근무형태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재택근무는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고 집에서 업무를 처리하고 그 과정 및 결과를 인터넷 등 통신기술을 통해 회사에 제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재택근무는 말 그대로 재택근무는 물론 원격근무센터 및 이동원격근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재택근무는 기업 측면에서 보면 비용절감과 고용의 유연성 확보, 생산성 향상, 조직의 전문성 향상 등의 효과를 노릴 수 있다. 근로자 입장에서는 시간이나 장소의 제약에 얽매이지 않고 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근시간이 없어지므로 여유시간의 창출이 가능하다. 출퇴근이 어려운 고령자와 장애인의 취업이 상대적으로 쉬워지는 것은 물론 거주지 선택의 폭이 확대되면서 거리적인 제약으로 인해 직장을 포기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주말부부도 크게 줄어들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터넷 등 재택근무의 인프라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크게 앞서 있지만, 얼굴을 직접 맞대야 하는 對面(대면)문화로 인해 재택근무가 아직 활성화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사회인식의 변화와 편리성, 더 많은 직업의 창출 등을 위해 사회적 분위기와 정부·기업 차원에서의 지원이 이어질 경우 재택근무 유형의 다양화는 물론 재택근무 근로자도 꾸준히 늘어날 것이다.
 
  재택근무가 가장 먼저 시작된 미국의 경우 2007년 상반기 기준으로 1주일에 8시간 이상 재택근무를 하는 근로자가 1200만명(비농업분야 취업자 중 8%)에 달하고 있다. 최근 이 비중이 급속히 늘고 있다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는 재택근무 비중이 미미한 상황이지만 한번 사회적 利器(이기)로 인식될 경우 급증할 가능성도 있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