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과학] 우주 인력 수요·공급 불일치

우주기술 마이스터고, 마이스터대학 필요

김태완  월간조선 기자 kimchi@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지난 5월 9일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의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우주 인력 양성 정책 토론회> 자료를 캡처했다. 이 토론회는 카이스트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항공우주학회, 사단법인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등이 주관했다.

인도 무인(無人) 우주선 찬드라얀 3호가 지난 23일 세계 최초로 달의 남극에 착륙하면서 국내 항공우주산업을 재점검하자는 논의가 활발하다.

 

기자는 지난 59일 국회에서 열린 <우주 인력양성 정책 토론회>에서 거론된 현안을 중심으로 우주 인력정책을 짚어 보았다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 김신명 연구교수에 따르면 2020년 대비 2021년의 기업체의 위성체 제작 인력이 1035명에서 1178명으로, 발사체 제작 인력이 824명에서 1069명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3~2027년간 기업체와 연구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우주 관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설계업무, 시스템 분야 등의 인력 수요가 3300명 정도로 파악되지만, 인력 공급은 1800명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정지운 센터장)

 

또 우주 관련 기업의 대규모 채용이 이뤄지고 있으나 필요한 인력이 부족해 채용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여기다 연구기관 인력의 81%, 기업 인력의 94%가 비()우주 관련 학위 과정(우주기술진흥협회, 2022)) 출신이라고 한다.

전기, 전자, IT, 재료, 자연과학 등을 전공한 후 우주 관련 기업 및 연구 기관에 취업하여 OJT(직장 내 교육훈련) 등을 통해 우주 관련 업무를 수행 중이다.

 

국내에 우주 관련 교육과정이 포함된 우주학과가 있는 대학은 18개 대학 20개 학과다. 관련 학과명은 항공우주공학과, 천문우주학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우주 관련 연구를 수행한 대학은 모두 38개 대학 99개 학과다.

 

항공우주공학과의 학부 교육과정은 항공에 편중되어 있으며, 우주기술에 대한 교과목이 전공심화 과목으로 한두 과목 정도로 편성되어 학부 과정에서 전문적인 우주기술 분야의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전무하다고 한다.

 

최근 경상국립대는 국내 최초로 설립되는 우주항공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단과대학인 우주항공대학을 설립, 2024학년도 신입생 107명을 선발한다.

우주항공대학은 글로컬대학 30 사업 선정 시 신입생 전원의 등록금 전액과 성적 우수 장학생에게 생활보조금 등 파격적인 지원을 할 예정이다.


<표> 우주 인력 양성 수단 (학위 과정)

 

대학교

학과

설립연도

  주요 교육 내용

한국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1952

항공기, 무인기, 우주 추진 발사체, 인공위성 및 유도무기 등에 관련된 역학 및 설계, 제작, 시험방법 등에 대한 교육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1967

은하 형성과 진화, 항성과 항성 종족의 진화, 천문광학, 인공위성 과학 등 우주 시대에 걸맞은 최첨단 과학 교육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1972

항공기, 헬리콥터 등의 대기권 비행체와 인공위성 발사체와 같은 우주 비행체의 설계/해석/제작/시험평가/운용을 위한 기반 학문 및 최신 공학 기술 교육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1979

항공기, 무인기 및 드론,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위성항법 등 비행과 우주탐사 기술과 시스템에 대한 교육

조선대

항공우주공학과

1985

항공우주 분야의 항공기, 인공위성, 발사체의 기반 설계 능력과 제반 기술지식을 교육

경희대

우주과학과

1985

수학, 물리, 전산 등의 기본 교육을 토대로 별과 행성의 생성과정, 대규모 전천탐사 등의 교육 진행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1987

우주의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기본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이론 및 관측의 제반 분야 교육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1988

태양계 행성들로부터, 태양, 항성, 성은, 성단, 은하, 은하면 우주배경복사 등 우주 내에 있는 전체와 환상을 교육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1989

항공우주 분야의 지식과 기술에 대한 확고한 기반구축과 문제 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교육

건국대

항공우주정보 시스템공학과

1990

지구 대기권과 우주를 비행하는 비행체 항공기, 발사제, 우주선 인공위성 등의 비행 원리, 해석, 설계와 관련된 교육 진행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1991

기초 학문분야(공기역학, 구조역학 또는 설계지향 분야에 우주를, 다른 분야와의 융합 항공 기술, 위성제 기술 등) 교육

전북대

항공우주공학과

1992

각종 첨단 항공기를 비롯하여 인공위성, 우주선 등의 개발 및 운용에 필요한 이론과 기술 교육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1992

우주 비행체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설계, 해석, 모델링 및 검증 등에 관한 방법을 배우고 연구

경상대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1996

비행체 및 운용시스템의 설계, 제작과 더불어 이와 관련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관한 교육

세종대

기계항공우주공학부

항공우주공학전공

1997

공학 분야 전반을 포괄하는 공학 일반 영역과 연구개발 대상인 항공우주 시스템의 특성을 탐구하는 항공우주공학 고유의 영역을 교육

세종대

천문우주학과

1997

최첨단 우주망원경과 지상 거대 망원경의 자료를 활용하여 별 탄생과 은하의 구조, 블랙홀의 신비, 우주의 가속 팽창 연구

울산대

항공우주공학전공

1998

AI 및 첨단과학기술 관련 융복합 교육을 통한 비행체 설계, 생산, 개발 교육

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2001

공기역학 구조역학, 추진공학, 제어공학 4가지로 분류하여 궁극적으로 항공기를 다루는 항공시스템과 우주선을 다루는 우주발사체 교육

아주대

우주전자정보공학과

2002

물리학, 정보통신공학, 전자공학, 위성공학, 지리정보공학, 지구 물리, 측량과학, 천체물리, 시스템공학, 우주과학 등 교육

순천대

기계우주항공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2006

일반 기계 시스템에 대한 교육 기반을 마련, 설계 능력 함양을 위해 역학 3차원 컴퓨터 응용 설계 학습

 

스크린샷 2023-08-25 122522.jpg


또한 우주 관련 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인력 중에서 우주 분야 취업률은 15.3%에 불과하다. 석사 출신이 15.9%, 박사 출신이 13.6%, 박사후과정 출신이 25% 정도. 다시 말해 우주 인력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되지 못하고 있고 학력도 불일치하고 있다는 얘기다.

기업체의 경우 학사 이하의 인력이 79%를 차지하고 있어 체계적인 우주기술 인력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우주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산업 인력 교육훈련, 연구 인력 현장연수, 연구인력 현장교육, 인력양성 저변 확대의 측면에서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김신명 교수는 다만 연구 인력 양성에 대부분 집중되어 있으며 소수로 진행되고 있어 산업 수요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향후 필요한 우주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우주 교육반영(교육부) 가칭 우주 교육원을 중심으로 우주 교육 확대 및 우주 영재발굴 우주과학관을 활용한 대국민 우주개발인식 확산 우주기술 마이스터고, 마이스터대학을 통한 우주기술 영재 양성 우주 분야 병력 특례 제도 개선, 우주군특성화고를 통한 우주군 기술 인력 양성 우주기술 전공 확대(우주관련 학과/전공 인증 제도) 우주대학원을 통한 미래 우주기술 연구자 양성 등을 제안한다.


STEPI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안형준 팀장은 우주산업은 타학문, 타산업과의 불균형에서는 속적인 발전이 불가능하며 특정산업이 아닌 종합산업으로 이해해야 한다무조건적 인력양성보다는 기업이 스스로 확장하여 우주산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우주시장 활성화에 초점을 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입력 : 2023.08.25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김태완 ‘Stand Up Daddy’

kimchi@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