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15년 5월 북한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이산가족 작별상봉 행사에서 이복순씨가 70년대 서해상에서 조업 중 납북된 정건목씨와 헤어지며 오열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6.25전쟁 납북자 가족 단체가 정부에 전담부서 설치를 요구하고 나섰다.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이사장 이성의)는 정전 70주년을 맞아 오는 28일 경기도 파주 임진각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에서 ‘제10회 6·25납북희생자 기억의 날’을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선 납북자를 위한 묵념과 헌시, 위로 음악회, 전시관 관람 등이 진행되며 전시 납북 사건을 위한 결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협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북한의 납북 범죄 시인 및 법적 책임 ▲납북자 전담부서 설치 ▲북한지도부 ICC(국제형사재판소) 제소 ▲역사, 인권교육 강화 등을 정부에 요구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결의문에서 “아직까지 10만 여명이나 되는 납북희생자들은 한 사람도 돌아오지 못하였고 생사확인은커녕 소식조차도 알 수 없다”고 토로했다. 특히 나라 살림이 나아지면 납북자와 그 가족들을 도울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정부는 수수방관해왔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다만 지난 4월 김건희 여사가 납북자 가족들을 직접 찾아와 위로한 데 대해선 “70여년 만에 처음으로 받은 위로에 마음이 울컥하고 참으로 감사했다”며 높게 평가했다.
협의회는 끝으로 “납북자 가족들은 다 연로하여 이제 시간이 없다”며 “하루속히 납북되신 분들의 소식, 생사를 알고 싶다”고 호소했다.
한편 주최측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권영세 통일부 장관, 박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등이 격려사에 나설 예정이며 납북자 가족 330여명이 참석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글=김광주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