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대강당에서 열린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뉴시스
16일 일본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윤석열 대통령의 광복절 축사를 해석, 보도했다. 역사 언급 없이 일본을 협력 파트너로 표현한 데 특히 주목했다.
아사히신문은 이날 ‘윤 대통령 광복절 축사서 일미(日美) 안보협력 강조’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윤 대통령이 일본에 대해서 지난해 연설과 마찬가지로 비판적 발언 없이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라며 관계 개선의 의욕을 보였다”고 했다.
아사히는 기사와 별도로 ‘일본과 한국 후퇴하지 않게 노력을’이라는 제목의 사설도 실었다. 이를 통해 “윤 대통령이 15일 일본의 식민 지배로의 해방을 기념하는 연설에서 일본을 파트너라고 부르며 안보와 경제 협력을 강화해 나갈 뜻을 밝혔다”며 “이번만큼은 한일 관계 개선이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고 기대해본다”고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또한 “윤 대통령이 일본은 이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라고 했다면서 강제징용,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역사 문제는 거론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닛케이는 일본 유엔 후방기지와 관련 윤 대통령이 “일본이 유엔사령부에 제공하는 7곳 후방 기지의 역할은 북한의 남침을 차단하는 최대 억제 요인”이라고 언급한 데 대해 “일본과의 안보 협력 중요성을 호소했다”고도 했다.
요미우리신문도 마찬가지로 “(이번 축사에서는) 강제진용, 일본군 위안부 등 역사 문제 언급이 없었다”면서 “일본의 책임을 촉구해온 역대 (한국) 대통령 광복절 연설과 차이가 두드러졌다”고 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윤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북한과의 대결 자세를 선명하게 보였고, 일본에 대한 비판적인 발언은 없었다”면서 일본 정권 관계자를 인용, “이번 경축사는 역사 문제 등 일본에 대한 비판이 없는 이례적 연설”이라고 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마이니치에 “윤 대통령은 한미일 3개국 협력 관계를 미국·호주·인도·일본 협력 틀인 쿼드와 나란히 할 수 있는 것으로 격상하고 싶은 생각”이라고 밝혔다.
글=박지현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