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복회가 국회에서 운영하는 카페. 국회 소통관과 본청, 의원회관 사이에 있다. 사진=조선DB
‘국가유공자 자녀에게 장학금을 주겠다’며 국회에서 카페를 운영해온 김원웅 광복회장이 카페 운영 자금을 횡령했다는 의혹에 대해 26일 국가보훈처는 감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보훈처는 이날 “김 회장 횡령 의혹의 사실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감사를 실시하겠다”며 “감사 결과에 따라 행정처분, 형사고발 등 관리·감독 주무 기관으로서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TV조선은 지난 25일 광복회 전 간부 A씨를 인용해 김 회장이 지난 1년간 국회에서 광복회가 운영하는 카페 ‘헤리티지 815’의 운영 자금 4500만원을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카페는 수익금 전액을 독립유공자 자녀에게 장학금으로 주겠다는 조건으로 2020년 5월부터 3년간 임대료를 내지 않고 운영되는 곳이다. 여기서 나온 수익금으로 국가유공자 자녀들에게 장학금을 주겠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광복회 전 간부는 “지난 한 해 5000만원 가까운 카페 자금이 김 회장 옷값, 안마비, 이발비 등으로 쓰였다”며 해당 업체 측에 송금한 내용이 담긴 김 회장 비서 명의 통장 사본을 공개했다.
이 간부는 “김 회장이 ‘국회 카페에서 나오는 돈을 우리가 좀 자유롭게 쓸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또 26일에는 김원웅 광복회장이 광복회 건물에 가족 회사를 차려두고 광복회장 직인을 찍은 공문으로 공공기관에 영업해온 정황이 확인됐다고 보도됐다.
90대 1 경쟁률 뚫고 공화당 간 김원웅, 민정당 공천받고는 삼일절‧광복절만 되면 반일(反日) 발언
김원웅 회장은 삼일절, 광복절이면 반일(反日) 발언을 해왔다. 민주공화당(공화당)‧민주정의당(민정당) 당직자 출신이기도 한 김 회장은 자신의 공화당‧민정당 경력에 대해 ‘생계를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1972년 제7회 공화당 사무국(사무처) 요원 모집에 지원해 합격한 후 당직자로 일했다.
1972년 1월14일자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당시 공화당 7기 당직자 공개 채용에 893명이 몰렸다. 당시 10명을 선발해 90대 1 경쟁률을 기록했다.
1988년 13대 총선 당시 민정당 청년국장이었던 김원웅 회장은 민정당 전국구 후보 58번을 배정받았으나 민정당은 38번까지 당선자를 냈고, 승계도 41번까지만 이뤄져 국회의원 당선에 실패했다.
1988년 1여(與) 3야(野)로 치러진 13대 총선에서 민정당이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자 노태우 정부는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을 극복하기 위해 김영삼(YS)의 통일민주당, 김종필(JP)의 신민주공화당(공화당)에 민정당과의 ‘3당 합당’을 제안한다.
1990년 3당 합당 이후 김원웅 회장은 ‘민정계’인 자신이 이른바 JP의 영지(領地)인 충청 지역에서는 공천(대전 지역)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해 탈당했다. 1992년 노무현·이기택 등이 모인 ‘꼬마민주당’ 후보로 출마(대전 대덕구)해 처음 당선됐다.
이후 한나라당, 열린우리당 등을 거치며 당적을 바꾼 김원웅 회장은 14‧16‧17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김원웅, 선거법 위반으로 ‘정계 퇴출’당해
김원웅 회장은 2010년 대전시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선거 당시 구의원 3명을 동원해 상대 후보에 대한 비방 선전물을 뿌렸다가 선거법 위반으로 피선거권을 박탈(5년)당했다.
김원웅 회장과 선거에서 맞붙은 경험이 있는 한 정치인은 당시 상황에 대해 “김원웅 회장이 대전시장에서 낙선한 후 상대 후보 비방 선전물 배포와 관련해 민주당 소속 구의원들이 검찰 조사를 받았다”며 “당시 김 회장이 자신은 빠져나오려고 하니 구의원들이 참다 못해 (배후를) 검찰에 알렸다”며 “김원웅 회장은 ‘정계 은퇴’가 아니라 ‘정계 퇴출’이 맞는 표현”이라고 밝혔다.
김원웅 회장은 노무현·유인태·박계동·김홍신 등과 공저(共著)한 《의원님들 요즘 장사 잘돼요?》(1997)에서 백범 김구 선생이 자신의 부모(김근수-전월선)를 중매한 것처럼 묘사했다. 그러면서 주변에는 ‘백범이 부모님 결혼식의 주례를 섰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원웅 회장은 공화당 당직자 시절 당의 지원을 받고 대만 유학을 다녀왔다. 당시 김원웅 회장과 함께 당직자 생활을 했던 이들은 “김원웅 회장이 대만 유학 후 복귀해 주변에 ‘장경국과 양자(養子) 관계를 맺었다’고 말했다”고 했다. 장경국은 대만 장개석의 장남이다.
윤석열 캠프, 김원웅 회장 비판하며 이재명 후보에게 입장 요구
27일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선대본부는 보훈처가 김원웅 회장의 횡령 의혹을 감사하는 것을 두고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국민 분열의 원흉, 김원웅을 탄핵(彈劾)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선대본부 장영일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김원웅 회장의 행적을 보면 (횡령이) 그리 놀랄 일도 아니다”면서 “김 회장은 그동안 온갖 왜곡과 저주를 쏟아 부으며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극심한 국민 분열을 야기해 왔다”고 했다.
장영일 부대변인은 “김원웅 회장은 ‘6‧25가 민족해방전쟁임을 부인하지 않겠다’고 하고, 6·25 남침 공로로 김일성 훈장을 받은 김원봉의 서훈을 추진했다. 내란을 선동한 이석기도 찬양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틈만 나면 이승만 대통령과 백선엽 장군을 친일로 매도하고 ‘백 장군을 파묘(破墓)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면서 “김 회장은 백 장군이 창씨개명을 했으니 친일이라 하지만 김 회장 모친의 이름은 ‘에모토 시마지’다. 1939년에 조선의용대에 입대했다는 그의 모친은 1940년에 본인이 직접 창씨개명을 했다. 독립운동을 하기는 했나”라고 했다.
장 부대변인은 “부친의 독립운동 이력도 논란”이라며 “공적 자료를 확인할 기록이 전무하고 기본적인 사실관계마저 틀리다고 한다. 광복회 개혁모임이 김 회장 부모의 가짜 독립운동 의혹을 제기하고 허위공적을 조사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을 낸 이유”라고 밝혔다.
또 “‘독립운동 이력 논란’에 대해 김원웅 회장은 ‘근거 없는 추측’ ‘행정착오’를 주장하며 자신을 비판하는 광복회 내 독립투사 후손들을 변절한 친일파로 몰아세웠다”며 “진실을 밝혀야 할 문재인 정권과 보훈처는 침묵으로 일관했다”고 했다.
장영일 부대변인은 “김 회장은 정치 활동을 금지하는 광복회 정관을 위반했고 광복회를 사유화했으며 호국영령의 명예를 훼손하고 국민을 갈라치기 해왔다”며 “철저한 수사를 통해 김 회장의 범죄 혐의를 낱낱이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윤석열 캠프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 대해 “이 후보는 ‘미군은 점령군’이라고 했다. 김원웅 회장이 지난해 5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메시지와 똑같다”며 김원웅 회장의 저질스러운 비리 혐의에 대한 이재명 후보의 입장은 무엇인지 답변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글=이경훈 월간조선 기자
[관련 기사] 대전高·공화당·민정당·보안사 출신이 말하는 김원웅. 광복회장 김원웅의 정치 행적 따라가 보니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nNewsNumb=202010100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