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별책부록
  1. 2012년 1월호

Earl Spencer: At the funeral of Diana, Princess of Wales (September 6, 1997)

얼 스펜서: 다이애나 빈 추도연설

글 : 月刊朝鮮   

  • 기사목록
  • 프린트
[추천의 글]

1997년 9월 6일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된 영국의 왕세자빈 다이애나의 장례식에서 다이애나의 동생 스펜서 백작이 한 추도사이다. 다이애나의 유머감각, 용기, 스타 기질 등 누이와 함께 성장하면서 함께 나눴던 기억을 바탕으로 누나의 경이로운 생애와 채 완성되기도 전에 잔인하게 마감된 생애에 대한 안타까움 등이 생생한 어휘와 빼어난 수사로 묘사된 추도사의 백미이다.
이 글의 제목은 그녀의 생애를 일종의 아이러니로 이해하면서 고대 사냥의 여신의 이름을 가진 누이가 현대 여성 중 가장 쫓기는 여성이었다는 의미로 붙여졌다. 장례식에서 스펜서 백작은 이 추도사를 단호한 어조와 듣기에 따라서는 다소 화난 듯한 목소리로 전달하여 장례식장뿐 아니라 전 세계 사람의 심금을 울린 명문이 되었다. 그는 이 추도사 이후 전 세계에서 10만 통 이상의 편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글은 영국시인 밀턴의 추도시 <리시더스> 이래 가장 유명한 추도문이 됐다.

김현택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장
  The most Hunted person of the Modern age
 
  I stand before you today, the representative of a family in grief, in a country in mourning, before a world in shock.
 
  We are all united, not only in our desire to pay our respects to Diana, but rather in our need to do so.
 
  For such was her extraordinary appeal that the tens of millions of people taking part in this service all over the world, via television and radio, who never actually met her, feel that they, too, lost someone close to them in the early hours of Sunday morning. It is a more remarkable tribute to Diana than I can ever hope to offer her today. Diana was the very essence of compassion, of duty, of style, of beauty. All over the world she was a symbol of selfless humanity, a standard-bearer for the rights of the truly downtrodden, a very British girl who transcended nationality. Someone with a natural nobility who was classless and who proved in the last year that she needed no royal title to continue to generate her particular brand of magic.
 
  Today is our chance to say thank you for the way you brightened our lives, even though God granted you but half a life. We will all feel cheated always that you were taken from us so young, and yet we must learn to be grateful that you came along at all. Only now you are gone do we truly appreciate what we are now without, and we want you to know that life without you is very, very difficult.
 
  We have all despaired at our loss over the past week, and only the strength of the message you gave us through your years of giving has afforded us the strength to move forward.
 
  There is a temptation to rush to canonise your memory. There is no need to do so. You stand tall enough as a human being of unique qualities not to need to be seen as a saint. Indeed, to sanctify your memory would be to miss out on the very core of your being, your wonderfully mischievous sense of humour, with a laugh that bent you double. Your joy for life transmitted wherever you took your smile and the sparkle in those unforgettable eyes. Your boundless energy, which you could barely contain. But your greatest gift was your intuition, and it was a gift you used wisely. This is what underpinned all your other wonderful attributes, and if we look to analyse what it was about you that had such a wide appeal, we find it in your instinctive feel for what was really important in all our lives. Without your God-given sensitivity we would be immersed in greater ignorance at the anguish of Aids and HIV sufferers, the plight of the homeless, the isolation of lepers, the random destruction of landmines.
 
  Diana explained to me once that it was her innermost feelings of suffering that made it possible for her to connect with her constituency of the rejected.
 
  And here we come to another truth about her. For all the status, the glamour, the applause, Diana remained throughout a very insecure person at heart, almost childlike in her desire to do good for others so she could release herself from deep feelings of unworthiness, of which her eating disorders were merely a symptom. The world sensed this part of her character and cherished her for her vulnerability whilst admiring her for her honesty.
 
  The last time I saw Diana was on July 1, her birthday, in London, when typically she was not taking time to celebrate her special day with friends but was guest of honour at a fundraising charity evening. She sparkled of course, but I would rather cherish the days I spent with her in March when she came to visit me and my children in our home in South Africa.
 
  I am proud of the fact that, apart from when she was on public display meeting President Mandela, we managed to contrive to stop the ever-present paparazzi from getting a single picture of her - that meant a lot to her. These were days I will always treasure. It was as if we had been transported back to our childhood when we spent such an enormous amount of time together - the two youngest in the family.
 
  Fundamentally, she hadn’t changed at all from the big sister who mothered me as a baby, fought with me at school and endured those long train journeys between our parents’ homes with me at weekends.
 
  It is a tribute to her level-headedness and strength that despite the most bizarre life imaginable after her childhood, she remained intact, true to herself.
 
  There is no doubt that she was looking for a new direction in her life at this time. She talked endlessly of getting away from England, mainly because of the treatment that she received at the hands of the newspapers. I don’t think she ever understood why her genuinely good intentions were sneered at by the media, why there appeared to be a permanent quest on their behalf to bring her down. It is baffling.
 
  My own and only explanation is that genuine goodness is threatening to those at the opposite end of the moral spectrum. It is a point to remember that of all the ironies about Diana, perhaps the greatest was this: a girl given the name of the ancient goddess of hunting was, in the end, the most hunted person of the modern age.
 
  She would want us today to pledge ourselves to protecting her beloved boys William and Harry from a similar fate and I do this here, Diana, on your behalf. We will not allow them to suffer the anguish that used regularly to drive you to tearful despair. And beyond that, on behalf of your mother and sisters, I pledge that we, your blood family, will do all we can to continue the imaginative and loving way in which you were steering these two exceptional young men, so that their souls are not simply immersed by duty and tradition, but can sing openly as you planned.
 
  We fully respect the heritage into which they have both been born, and will always respect and encourage them in their royal role.
 
  But we, like you, recognise the need for them to experience as many different aspects of life as possible to arm them spiritually and emotionally for the years ahead. I know you would have expected nothing less from us.
 
  William and Harry, we all care desperately for you today. We are all chewed up with sadness at the loss of a woman who was not even our mother. How great your suffering is we cannot even imagine. I would like to end by thanking God for the small mercies he has shown us at this dreadful time, for taking Diana at her most beautiful and radiant and when she had joy in her private life.
 
  Above all, we give thanks for the life of a woman I am so proud to be able to call my sister: the unique, the complex, the extraordinary and irreplaceable Diana, whose beauty, both internal and external, will never be extinguished from our minds.
 

  현대 역사상 가장 궁지에 내몰린 인물
 
  저는 오늘 국상(國喪)을 당해 슬픔에 잠긴 나라의 유족(遺族) 대표로서 여러분 앞에, 그리고 충격에 빠진 세상 앞에 섰습니다. 우리는 다이애나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과 더불어 마땅히 그녀에 대한 존경의 의미를 되새겨 봐야 합니다.
 
  다이애나 특유의 뛰어난 매력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1000만명의 사람이 실제 그녀와 만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까운 지인(知人)을 잃은 마음으로 TV나 라디오를 통해 일요일 이른 아침 이 영결식(永訣式)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오늘 제가 다이애나에게 전하고 싶었던 만큼의 경의 이상으로 훌륭한 영결식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이애나는 동정심, 책임감, 그리고 미적 스타일의 정수를 보여주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그녀는 매우 영국적 여성인 동시에 국적을 뛰어넘는 이타적(利他的)인 인도주의의 상징이었으며, 몹시 짓밟힌 이들의 권리를 수호하는 데 앞장선 지도자였습니다. 그녀가 생(生)의 마지막 해에 보여준 모습은 귀족 태생의 왕실 직위가 그녀에게 전혀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자신만의 개성이 담긴 마법의 행동을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하느님께서 인간 평균수명의 절반만을 허락하셨음에도 불구하고 그대가 우리의 삶을 밝혀 준 방식에 대해 오늘의 자리를 빌려 감사를 전합니다. 젊고도 젊은 나이의 그대를 우리 곁에서 떠나보내는 것에 대해 우리는 늘 죄책감을 느낄 것입니다. 동시에 우리는 그동안 그대가 우리와 함께해 준 것에 대해 감사함을 배워야 할 것입니다. 그대가 떠나고 나서야 지금은 우리 곁에 없는 그대에게 진심으로 감사하게 되었습니다. 그대가 없는 삶이 우리에게 있어 정말 힘겹다는 것을 알아 주십시오.
 
  지난 한 주 동안 우리 모두는 그대를 잃은 슬픔에 망연자실했습니다. 살아생전 그대가 보여준 베푸는 삶에 대한 메시지는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그대에 대한 기억을 서둘러 신화화(神話化)하려는 유혹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굳이 성인(聖人)으로 비치지 않아도 충분할 만한 특별한 면모를 가진 인물로서 그대는 늘 두각을 나타내 왔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그대에 대한 기억을 신격화하는 것은 무의미한 우스꽝스런 장난처럼 그대 본연의 가치를 훼손할 여지가 있습니다. 그대의 미소가 가는 곳마다, 잊을 수 없이 반짝이는 눈이 가는 곳마다 삶에 대한 그대의 기쁨이 전해졌습니다. 그대는 그대가 가진 무한한 에너지를 숨겨 둘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대가 가진 가장 뛰어난 재능은 직관력이었고 그대는 이 능력을 현명하게 사용했습니다. 이를 통해 그대가 가진 여러 가지 개성이 빛을 발했으며, 우리가 만인을 끌어당기는 그대의 매력에 대해 분석했을 때, 그 비밀은 그대가 직관적으로 우리의 삶에서 무엇이 정말 중요한지 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하늘이 그대에게 내려주신 감수성이 없었더라면 우리는 AIDS/HIV로 고통 받는 이들의 괴로움, 걸인의 처지, 나병환자의 고립, 지뢰로 인한 무분별한 파괴에 대해 무지했을 것입니다.
 
  한때 다이애나는 저에게 가슴속 가장 깊은 곳으로부터 느끼는 고통에 대해 토로했었고, 이것은 가장 소외당한 이들로 이루어진 그녀의 지지자들과 그녀를 연결해 주었습니다.
 
  여기에 다이애나에 대한 또 다른 진실이 있습니다. 그 모든 지위, 화려함, 찬사 속에서도 다이애나의 마음은 불안한 채로 남아 있었습니다. 타인에게 친절을 베풀고자 하는 마음은 거의 어린아이와 다름 없어 그녀는 스스로를 무가치하다고 여기는 감정으로부터 자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습니다. 다이애나가 앓았던 섭식장애는 자신을 쓸모없다 여기는 그 상처 깊은 감정에 비하면 그저 가벼운 증상에 불과한 것이었습니다. 세상은 그녀의 이런 부분을 발견했고 그녀의 솔직함을 존경함과 동시에 그녀의 약함을 사랑했습니다.
 
  제가 다이애나를 마지막으로 본 것은 7월 1일 그녀의 생일, 런던에서였습니다. 주로 개인적인 기념일에도 친구들과 축하를 하는 대신 다이애나는 자선기금 모금행사에 귀빈으로 참석하곤 했습니다. 다이애나는 항상 빛났지만 저는 특별히 지난 3월 그녀가 저와 저의 아이들을 찾아 우리가 머물고 있는 남아프리카를 방문해 함께 보낸 시간을 기억하고 싶습니다.
 
  저는 당시 전례 없이 많이 모인 파파라치가 - 다이애나가 공개석상에서 만델라 대통령을 만났을 때를 제외하곤 - 그녀의 사진을 단 한 장도 찍지 못하도록 우리가 막았던 일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그녀에겐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 시간을 저는 항상 소중하게 간직할 것입니다. 마치 우리가 집안의 막내로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낸 어린 시절로 되돌아간 것만 같은 순간이었습니다.
 
  어머니처럼 어린 저를 보살펴 주었던 손위 누나의 모습은 근본적으로 전혀 변함이 없었습니다. 학교에서 저와 다투기도 하고, 주말이면 저와 함께 오랜 시간 기차를 타고 부모님의 집을 오갔습니다. 어린 시절 이후 짐작할 수 있는 가장 기구한 삶에도 불구하고 그녀 자신 있는 그대로를 지켜냈다는 점에서 다이애나의 분별력과 강인함에 경의를 표합니다.
 
  의심의 여지 없이 이 시점 이 삶 속에서 다이애나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늘 잉글랜드를 떠나는 것에 대해 말했는데 대부분 다이애나를 대하는 언론의 태도 때문이었습니다. 그녀의 순수하고 좋은 의도가 왜 미디어로 인해 경멸당했는지, 그녀를 끌어내리기 위해 미디어가 왜 끊임없이 노력했는지 다이애나는 결코 이해할 수 없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정말로 이해가 불가능했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순수한 선(善)이 도덕적 스펙트럼 저 반대편에 위치한 이들에게 있어 위협이 되었던 모양입니다. 다이애나에 대한 모든 아이러니 중 아마 가장 큰 아이러니는 바로 이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고대(古代) 사냥의 여신(女神)의 이름을 가진 소녀가 결국 현대 역사상 가장 궁지에 내몰린 인물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오늘 다이애나는 사랑하는 아들 윌리엄과 해리가 그녀와 비슷한 운명을 겪지 않도록 우리가 보호할 것을 약속해 주길 바랄 것입니다. 저는 이 자리에서 고인이 된 누이를 대신해 약속합니다. 우리는 그대를 이따금씩 끔찍한 절망으로 몰고 갔던 그런 괴로움을 윌리엄과 해리가 겪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또한 그대의 어머니와 자매들을 대신해 약속하건대, 그대와 피를 나눈 우리 가족은 모든 노력을 다해 그대가 지도해 온 방식대로 두 아들을 독창적이고 사랑스러운 방법으로 지도해 나갈 것입니다. 그럼으로써 그들의 영혼이 단지 의무와 전통으로 물들지 않고, 그대가 애초에 바랐던 것처럼 아이들의 영혼이 자유롭게 노래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윌리엄과 해리의 타고난 유산을 존중하고, 항상 그들이 향후 왕가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을 약속합니다.
 
  그러나 그대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위해 두 형제가 영성적으로, 감성적으로 무장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다양한 삶의 관점을 아이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그대가 우리에게 이것을 가장 바란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윌리엄, 해리, 오늘 우리가 가장 염려하는 것은 너희들이다. 다이애나가 우리의 어머니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잃은 상실감에 우리 모두는 슬픔에 잠겨 있다. 이로 미루어 보아 너희의 아픔을 우리는 도무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이 고통스러운 시간, 개인적인 생활에서 기쁨을 느끼며 가장 아름답게 빛나던 순간에 다이애나를 데려가시는 작은 자비심을 우리에게 보여주신 하느님께 감사를 드리며 저의 추도사를 마무리하겠습니다.
 
  <번역=박나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