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여행 방법
A : 독도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울릉도를 거쳐야 한다. 여행사들이 취급하는 패키지 여행상품으로는 1박2일 또는 2박3일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들 상품은 울릉도와 독도를 함께 둘러보는 일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품 가격은 1인 기준으로 20만원대에서 40만원대까지 다양하다. 울릉도로 들어가는 배가 출발하는 포항, 묵호까지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종류와 울릉도에서의 숙박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여행사의 단체 상품을 이용하지 않고 자유여행을 하는 방법도 있다. 세 군데의 해운사가 총 4척의 여객선을 이용, 울릉도와 독도 사이를 정기, 부정기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5월 중순에 한 척이 더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 승선비는 성인 1인 기준 4만5000원가량이다. 정기 운항을 하고 있지만 날씨와 예약 인원에 따라 운항 여부가 수시로 바뀌므로 사전 예약과 운항 여부 확인은 필수다.
독도에 들어가기 위한 사전 승인을 개인이 별도로 신청할 필요는 없다. 입도(入島) 승인 절차가 간소화돼 울릉도와 독도 사이를 운행하는 여객 해운 회사에서 승선인원 보고로 입도 보고를 대신한다.
관광목적이 아닌, 행사, 집회, 언론사, 취재 및 촬영, 학술조사 등의 특수목적으로 독도에 들어가려면 입도 14일 이전에 사전 신청을 해야 한다. 신청은 울릉군이 운영하는 독도 입도 종합안내 사이트(http://intodokdo.go.kr)에서 할 수 있다. 이 사이트에는 독도 여행과 관련된 풍부한 정보가 들어 있다.
여객선의 종류에 따라 독도 관람시간 포함 왕복 3시간이 걸리기도 하고 최대 5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섬에 배가 접안(接岸)할 수 있을 정도로 날씨가 좋은 날에는 독도에 직접 발을 디디고 20분가량 독도의 풍광을 가까이서 살펴볼 수 있다. 배를 댈 수 없는 날에는 동도와 서도 주위를 선회하며 기암절벽을 구경한다. 독도 관광을 위한 성수기는 파도가 비교적 잔잔한 5월부터 9월까지인데 작년에는 이 시기에 하루 평균 600~700명이 독도를 다녀갔다. 하루에 1800명이 다녀간 날도 있다.
울릉도의 숙박시설은 민박을 포함해 최대 하루 4700명까지만 수용할 수 있어 가족 단위 자유여행객은 숙박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는 편이 편리하다. 숙박정보를 포함한 울릉도와 독도 관광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울릉군 문화관광체육과나 관광안내소에 문의하면 된다.

<울릉도·독도 관광 안내>
독도입도 종합안내 http://intodokdo.go.kr
사이버 독도 http://www.dokdo.go.kr
울릉군 문화관광체육과 (054)790-6392~3
울릉군 관광안내소 (054)790-6454
<여객선 표 구입 및 운항 문의>
대아고속해운 1544-5117
대한해운 1666-0369
시스포빌 1577-8665
추가 정보 02
독도 관련 시민단체와 공공·연구단체
A : 반크(VANK)는 인터넷상에서 한국을 알리는 ‘사이버 외교사절단’ 역할을 하는 단체다. 반크라는 이름은 ‘Voluntary Agency Network of Korea’의 약자다. 1999년 외국인과의 펜팔을 주선하는 사이트로 문을 열어 현재는 민간 부문에서 한국의 대외 홍보를 담당하는 대표적인 단체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전 세계 8억 해외 네티즌을 대상으로 한국의 이미지를 변화시킨다”는 목표 아래 인터넷상에서 한국 정보의 오류를 수정하고 나아가 한국을 알리는 ‘사이버 외교관’을 양성하는 ‘PRKOREA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 홍보와 함께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독도 바로 알기’다. 사이버 외교관 양성과정은 유료회원제로 운영되고 있지만 독도에 대해 배울 수 있는 ‘독도사관학교’ 과정은 무료다. 독도사관학교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누구나 독도는 어떤 곳이고 왜 한국의 영토인지 등에 대해 동영상 강의 등을 통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
반크 외에도 여러 단체가 ‘독도 지킴이’로 활동하고 있다. 독도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는 1953~1956년까지 민간인 신분으로 자원해서 독도를 지켰던 33인의 의용수비대를 기리기 위해 2008년 설립된 단체이다. 33인 중 생존한 대원과 유족에 대한 지원 사업, 독도에 대한 교육, 홍보 사업을 하고 있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독도의용수비대 청소년 명예대원을 모집해 여름방학에는 단체로 독도 탐방을 하는 교육사업과 의용수비대 기념관 건립 추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06년 설립된 독도수호국제연대는 대학생들에게 독도 바로 알기 교육을 하는 ‘독도아카데미’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2170여 명의 대학생이 교육과정을 수료했다. 이 밖에도 독도본부와 한국시인협회 독도지회(편부경 시인) 등 각종 단체에서 독도에 대해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다.
학술 연구단체로는 독도학회를 비롯해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영남대 독도연구소, 동북아역사재단 산하 독도연구소 등이 있다.
<연구단체>
독도학회 http://www.dokdoinkorea.com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http://esri.kordi.re.kr/home/main.asp
KMI 독도·해양영토연구센터 http://www.ilovedokdo.re.kr
세종대학교 독도종합연구소 http://www.sejong.ac.kr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http://dokdo.yu.ac.kr
대구대학교 독도영토학연구소 http://dokdoterritory.daegu.ac.kr
독도연구소 http://www.dokdohistory.com
<관련 공공기관>
독도박물관 http://www.dokdomuseum.go.kr
울릉군 독도관리사무소 http://www.ulleung.go.kr
사이버독도 http://www.dokdo.go.kr
대한민국 동해 홈페이지 http://eastsea.khoa.go.kr
독도명예주민증 http://www.intodokdo.go.kr
해양경찰청 독도바다지킴이 http://dokdo.kcg.go.kr
KBS 여기는 독도입니다 http://office.kbs.co.kr/dokdo
<시민단체>
반크 http://www.prkorea.com
독도수호국제연대 http://www.dokdonetwork.or.kr
독도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 http://www.dokdofoundation.or.kr
독도본부 http://www.dokdocenter.org
<독도 관련 영문 사이트>
독도와 동해 http://www.forthenextgeneration.com/dokdo
동해포럼 http://www.eastse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