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별책부록
  1. 2011년 6월호

머리말

글 : 愼鏞廈 독도학회 회장  

  • 기사목록
  • 프린트
愼鏞廈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1961)
⊙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
⊙ 독도연구보전협회 초대회장, 한국영토학회 초대회장 역임
⊙ 現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울산대학교 석좌교수
⊙ 독도학회 회장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獨島·Dokdo)에 대해 일본정부가 1952년 1월 28일 ‘독도영유권’을 주장해 온 이래, 한국과 일본 사이에는 ‘독도영유권 논쟁’이 전개되고 있다.
 
  독도영유권 논쟁은 그 후 오늘날까지 약 60년간 수그러들기는커녕, 일본 측의 끊임없는 도전으로 말미암아 날로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
 
  대한제국의 국력이 쇠약했던 구한말 시기, 구 일본제국주의가 한국침략정책을 자행할 때, 독도가 한국의 동쪽 가장 끝에 있는 사람이 살지 않는 외로운 섬이었으므로 일제는 1905년 2월 한국정부와 국민 몰래 독도를 침탈했고, 이어 1905년 11월 ‘을사조약’을 강제하여 대한제국 외교권을 침탈, 한국을 반식민지 상태에 두었으며, 1910년 8월에는 한국을 완전 식민지로 강점하여 한국은 독립주권을 완전히 침탈당하였다.
 
  일본 제국주의의 독도침탈, 을사조약과 국권침탈, 식민지 강점과 독립주권 침탈은 분리된 사건이 아니라, 1905~1910년 구 일본제국주의의 한국에 대한 침략 정책의 연속된 하나의 묶음이었다.
 
  그러므로 현대 일본정부가 ‘독도영유권’을 주장하면서 독도 재침탈정책을 수립, 집행하는 것은 오늘날 대한민국 국민에게는 하나의 작은 섬 문제가 아니라, 현대 일본정부가 구 일본제국주의의 한국침략정책을 현대 대한민국에 적용하여 한국의 독립주권을 위협하는 심각한 것이다. 동시에 그것은 동아시아 평화와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일본정부는 독도침탈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일본 외무성은 2008년부터 《독도(죽도)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10의 포인트》라는 소책자를 일본어·한국어·영어 등 10개국어로 제작하여 외무성 홈페이지에 올리고 있고, 대사관·영사관·문화원 등을 통해 전 세계에 배포하고 있다.
 
  또한 일본 문부과학성은 의무교육과정인 초등·중등·고등학교에서 “독도가 일본 영토인데 한국이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식의 교육을 강행해서 일본 전 국민에게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허위사실’을 주입시키는 정책을 수립, 집행하기 시작했다.
 
  일본정부의 주장이, 아무리 ‘허위’일지라도 그것을 ‘의무교육’을 통해 교육시켜 놓으면 학생들이 ‘허위 사실’로 의식화되어 독도를 일본 영토로 오해하고 그들이 성년이 되면 독도침탈을 추진할 위험이 격증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일본은 다음 세대에라도 꼭 독도를 침탈하겠다는 강렬한 국가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우리 대한국민은 먼저 “독도”에 대한 “진실”을 알고, 이를 굳게 수호할 필요가 절실하게 되었다. 또한 일본국민들과 전 세계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독도가 한국 영토임이 “진실”이라는 사실을 널리 알려야 할 필요가 절실하게 되었다.
 
  이 책은 독도에 대한 “진실”을 밝힐 목적으로 쓴 것이다.
 
  필자는 지난 2000년 “독도문제 100문 100답”이라는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이듬해 서울대학교 출판부가 이 글을 《독도영유권에 대한 일본주장 비판》이라는 단행본의 부록으로 수록했었다. 최근 일본의 독도침탈 정책과 교육이 강화되었고, 그 사이 자료도 축적되어 이를 전면 개정하여 《독도 130문 130답》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의 교양서적으로 출판 의뢰할 예정이었으나, 마침 《월간조선》에서 “독도문제”의 추세를 염려하는 마음으로 동일한 제목의 원고를 청탁해, 기꺼이 2011년 6월호 별책부록으로 간행하게 되었다. 이 책이 독자들의 “독도”에 대한 “진실”의 이해와 독도 수호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2011년 5월
  신용하 삼가 씀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