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별책부록
  1. 2006년 10월호

입시 앞둔 수험생을 위해

   

  • 기사목록
  • 프린트
정선용 교수 화병 스트레스 클리닉
  입시는 대부분 늦가을과 겨울에 걸쳐 있다. 수험생들이 여름에 공부하다 보면 땀을 지나치게 많이 흘리기도 하는데, 한의학에서는 이 땀을 「진액(津液)」의 일종으로 본다. 진액은 인체의 육체적 활동의 총화인 정(精)을 만드는 기초로 보며, 이 정(精)이 모인 곳이 두뇌와 골수이다. 결국 수험생들이 지나치게 땀을 많이 흘리면, 두뇌와 골수의 활동이 부족해지기 쉽다는 얘기다. 또 수험생들이 땀을 흘리다 보면 양기도 같이 부족해진다. 한의학에서 양기(陽氣)는 정신 활동의 총화인 신(神)으로 보는데, 양기 부족은 정신 활동의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여름철에는 에어컨 바람을 많이 쐬면서 공부를 하기 때문에 소화 장애와 두통이 많이 나타난다. 이러한 진액 부족, 양기 부족, 소화장애는 수험생의 체력 저하로 이어지며, 집중력 저하를 일으킨다. 수험생이 슬기롭게 가을을 넘기는 데 도움이 되는 한약이다.
 
 
  1 _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몸의 진액이 부족해진 수험생에 적합한 처방이다. 음(陰)과 진액(津液)이 부족하면 소화에 특별한 지장은 없으나, 잠을 잘 때 땀을 많이 흘리면서 피로감을 호소하고 더불어 잠이 오지 않거나 입이 마르고 지치기 쉽다. 지황, 맥문동, 천문동 등의 약물을 주로 사용한다.
 
  구성 약재 _ 숙지황 320g, 산약·산수유 160g씩, 택사·목단피·백복령 120g씩
  복용법 _
위의 약재를 빻은 뒤, 꿀과 섞어 오동나무 열매 크기의 환을 만들어서 매일 50~70환을 복용한다.

 
 
  2 _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땀을 많이 흘려 기운이 빠진 수험생에게 적합한 처방이다. 수험생이 너무 무리하거나, 음식을 제대로 먹지 않으면 몸에서 허열이 나고,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난다. 의욕을 잃은 상태로도 볼 수 있다. 더구나 더위에 땀을 많이 흘려 양기(陽氣)를 잃은 상태에서 에어컨이나 선풍기 같은 찬 기운에 노출되면, 수험생은 더욱 추위를 타면서 졸음을 참지 못하게 된다. 또 소변이 많아지고, 땀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난다. 이럴 때에 황기, 부자, 인삼, 계피, 녹용 등의 약물을 사용하며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진무탕(眞武湯),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등을 사용한다.
 
  구성 약재 _ 황기 6g, 인삼·백출·감초 4g씩, 당귀신·진피 2g씩, 승마·시호 1g씩
  복용법 _
위의 약재에 물을 붓고 달여 매 끼니 먹는다.

 
 
  3 _ 귀비탕(歸脾湯)
 

  수험생 중에 유달리 생각과 걱정이 많아서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은 건망증과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과도한 스트레스와 고민은 심장과 비위를 손상시킨다. 심장과 비위가 손상되면, 수험생이 종일 기운이 없고, 소화가 잘 안 되기도 한다. 이럴 때에는 인삼·복령·백출과 같은 비위를 보하는 약물과, 기의 울체를 풀어내는 원지·목향 등의 약물을 사용하며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귀비탕(歸脾湯),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육군자탕(六君子湯) 등을 사용한다.
 
  구성 약재 _ 당귀·용안육·산조인초·원지제·인삼·황기·백출·복신 4g씩, 목향 2g, 감초 1g
  복용법 _
위의 약재와 생강을 함께 넣고 물을 붓고 끓여 복용한다.

 
 
  4 _ 분심기음(分心氣飮)
 

  간혹 과도한 입시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에 빠지는 수험생이 있다. 소심한 성격의 수험생에게 잘 나타나는 현상인데, 앞으로의 일을 무조건 비관적으로 생각하고 보는 성향이 강하다. 이런 우울증은 잠시 지나가기도 하지만, 심해지면 항시 가슴이 답답하고, 대소변을 시원하게 못 보는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 이런 수험생에게는 백작약, 진피, 감초, 백복령 등의 약재로 심신을 편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구성 약재 _ 계지 6g, 백작약·목통·반하·강제·청피·진피·백복령·강활·상백피 4g씩, 등심초·대복피·소엽·감초·대조 3g씩
  복용법 _
위의 약재와 생강을 함께 넣고 물을 붓고 끓여 복용한다.

 
 
  5 _ 교감단(交感丹)
 

  지속적인 시험 스트레스는 수험생의 심기를 예민하게 만든다. 이런 수험생들은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고, 짜증을 부리는 경우가 있다. 식욕이 떨어지고, 가슴이 답답하며, 모든 기운이 막혔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런 수험생에게 효험 있는 보약이다.
 
  구성 약재 _ 향부자 400g, 복신 160g, 감초 4g
  복용법 _
향부자 400g, 복신 160g을 갈아서 꿀에 섞어 청심환 크기로 환으로 만든다. 이 환을 향부자, 복신, 감초를 넣어서 끓인 물과 함께 복용한다.

 
 
  6 _ 청신양영탕(淸神養榮湯)
 

  머리와 눈, 귀가 밝지 않은 수험생에게 적합한 처방이다. 오랜 시간 시험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보면,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눈이 잘 보이지 않는다거나, 귀가 잘 들리지 않는다는 현상들이다.
 
  보통 이런 증상들은 시험이 끝나고 나면 원상복구될 정도로 일시적인 일들이다. 하지만 당장 머리가 멍하고, 눈앞이 침침한 학생들에게는 이만저만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니다. 이럴 때에는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귀를 밝히며, 정신 작용을 돕는 청신양영탕이 도움이 된다.
 
  구성 약재 _ 맥문동·당귀 5g씩, 천궁 4g, 백지 3g, 박하·감국·강활·치자·감초 2g씩, 승마 1g, 생강 3편, 차 약간량(손가락으로 한번 집는 정도의 양)
  복용법 _
위의 약재들에 물을 붓고 끓여 복용한다.

 
 

  ▣ 수험생을 위한 제안
 
  한약과 함께 명상, 호흡을 병행하면 집중력 강화와 마음의 안정에 많은 도움이 된다. 호흡법 중에는 복식호흡을 권장한다.
 
  하루에 아침 저녁으로 5~10분 정도씩, 누워서 눈을 감고 한손은 가슴에 한손은 배꼽에 올려 놓는다. 가슴과 어깨는 고정시키고, 배꼽에 올려놓은 손만 움직이게끔 호흡을 한다. 들숨보다는 날숨을 더 길게, 그리고 억지로 참지 말고 자연스러운 호흡이 되게끔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간단히 할 수 있지만, 마음을 진정시키고 머리를 맑게 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
 
  명상은 다른 것보다, 자신이 시험을 잘 보고 시험장을 나와서 밝게 웃는 모습을 머릿속에 구체적으로 그리는 것이 간단하면서도 자기 암시를 줄 수 있어 도움이 된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