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별책부록
  1. 2006년 10월호

피부를 위한 보약

   

  • 기사목록
  • 프린트
최인화 교수 알레르기 피부미용 클리닉
  가을은 여성들에게 달갑지 않은 계절이다.
 
  자칫 여름철의 좋지 못한 섭생으로 인한 피로가 누적될 수 있고, 환절기 기후로 인해 피부가 거칠어지고 윤택함을 잃기 십상이다. 또 가을철에는 모발의 성장 속도가 늦어, 여성들 중 탈모 현상을 경험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
 
 
  1 _ 가미보중익기탕(加味補中益氣湯)
 

  여름철의 섭생이 좋지 않았다면 가을은 시작부터 괴로울 수 있다. 기온 변화로 인해 잦은 감기와 피로감에 몸을 가누기 힘들어지기도 한다.
 
  봄과 여름이 음양 중 양에 해당하는 계절이라면 가을, 겨울은 음에 해당하는 계절이다. 음적인 기운은 보다 정적이고 차분하며 수렴시키는 기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몸의 저항력을 길러주고 기온 변화로 인한 몸의 이상 변화를 예방해 줄 수 있어 특히 만성적인 두드러기 증상이나 알레르기성 질환을 갖고 있는 분들에게 활용해 볼 수 있다. 이 보약을 섭취하면, 외부의 나쁜 기운을 막아주고 기의 소통을 원활히 해주며 불필요한 습기와 노폐물을 없애줄 수 있다.
 
  구성 약재 _ 황기 8g, 인삼·감초 4g씩, 백출·당귀·진피 3g씩, 시호·승마 2g씩, 강활·방풍·반하·백복령 4g씩, 산치자·황금 2g씩, 생강 6g, 대추 4g
  복용법 _
1첩 분량으로 하여 2첩으로 1회 재탕을 포함하여 120g씩 1일 3회 복용한다.

 
 
  2 _ 옥죽환(玉竹丸)
 
  봄에는 피부가 연약하고 순해지면서 새살이 돋아 나오고 또한 예민해지는 시기이고, 여름에는 모공의 확장과 모세혈관 출혈로 인한 얼굴 붉어짐 등이 잘 나타나는 시기다. 가을과 같은 환절기에는 피부가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되어 가는 변화기라 할 수 있다. 가을에는 피부가 거칠어지고 윤택함을 잃어 주름이 생기거나 탄력을 잃기 쉬운 계절이다. 따라서 주름 및 색소 침착을 예방하고 맑고 건강한 피부를 만들기 위해서는 보온과 보습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때다. 폐장은 피부와 모발을 관장하는데, 폐장이 진액을 자양하는 옥죽의 기능에 힘입어 진액을 다시 피부와 모발에 운송해 주어 윤활하게 만들고 안면부를 촉촉하게 한다. 따라서 건조해지기 쉬운 가을철 피부를 보호해 주어 탄력 있고 윤택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구성 약재 _ 옥죽 1500g
  복용법 _
매년 2월, 9월에 신선한 옥죽의 뿌리를 채취하여 도기에서 끓여 농축시키고 그 찌꺼기는 햇볕에 말려 가루로 만들어 원액과 함께 다시 끓인 후 식혀 달걀노른자 크기의 환으로 만든다. 1일 3회, 1회 1알씩 온수로 복용한다.

 
 
  3 _ 오발고(烏髮膏)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여러 가지 형태의 탈모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의학에서 모발은 혈의 남은 부분이라 하여 혈액이 충분해야만 모발이 풍성하고 윤기 있는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했다. 가을철에는 모발 성장 속도가 늦어져 탈모가 가속화되는 시기이므로 적절한 치료 및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백하수오는 모발을 검게 만드는 효능이 있고, 혈을 보하는 작용이 있다. 여기에 백복령, 구기자와 같은 간장과 신장 기운을 보하는 약이 배합되어 체력을 보강해 주고 모발을 윤택하고 왕성하게 만들어 주는 작용을 한다.
 
  구성 약재 _ 백하수오·백복령 1000g씩, 당귀·구기자·토사자·우슬·흑지마 240g씩, 보골지 120g
  복용법 _
거칠게 빻아 3번에 걸쳐서 전탕한 후 은근한 불에 끓이면서 농축시킨다. 꿀을 적당량 넣고 농축액과 잘 섞은 후 체에 걸러 항아리에 보관하고 1일 3회, 1회 15g 정도를 뜨거운 물에 타서 복용한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