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재 교수 한방 건강증진 클리닉
1 _ 오자환(五子丸)

예부터 한방에서는 씨앗류의 본초를 중요하게 여겼다. 씨앗에는 본초가 앞으로 자라기 위해 축적해 놓은 양기(陽氣)가 가득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씨앗은 양기를 보해주는 효과가 있다. 오자환은 전통적으로 한방에서 다용해 온 씨앗류의 보양제로 구성되어 있다. 평소 추위를 잘 타거나, 정력이 저하된 경우, 소변을 자주 보는 경우 본 처방의 효과는 탁월하다. 중장년층 분들 중 상당수가 변비로 고생하는데 젊은이들의 변비와는 그 원인부터 차이가 있다. 젊은이들의 변비는 위장, 대장에 지나치게 열이 많이 쌓여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중장년층 분들의 변비는 대부분 기력이 저하되거나 양기가 부족하여 대장 기능이 저하되거나, 진액이 부족하여 대장이 건조해서 생기는 것이다. 중장년층 분들이 젊은이들에게 처방하는 변비약을 복용하면 기력이 더 빠지고 진액이 더 마르게 된다. 오자환은 우리 몸에 양기와 진액을 보충해 줌으로써, 중장년층의 만성적인 변비에 효험을 볼 수 있다.
구성 약재 _ 구기자, 차전자, 토사자, 오미자, 복분자 5g씩
복용 _ 위의 약재와 물 300ml를 약탕기에 담고 약 2시간 동안 약한 불에 달인다.
주의사항 _ 특별한 주의사항은 없다. 단, 본 처방을 복용 후 입이 마르거나 갈증이 심해지면 복용을 중단하고 한의사와 상의하기 바란다.
2 _ 평위산(平胃散)

사람들은 여름철 점심에 냉면이나 콩국수로 더위를 식힌다. 저녁에는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삼겹살, 삼계탕 등의 육류를 먹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여름을 지내면서 뱃속은 점점 불편해진다. 지나친 땀으로 비위장의 기능이 약해진 상태에서 찬 음식, 육류 등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비위장이 이 음식을 충분히 소화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방에서는 이를 식적(食積)이라 한다. 여름이 끝날 무렵, 계속 소화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아무리 좋은 보약을 복용해도 큰 효과가 없다. 우선 식적부터 다스려야 한다. 식적을 다스리는 것이야말로 중요한 보양(補養)이다.
또 여름에는 지나치게 많은 습기에 노출된다. 몸이 왠지 무겁고 머리가 개운치 않기도 하다. 정신적으로도 우울증이 나타날 수 있다. 평위산은 몸과 마음이 지나친 습기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구성 약재 _ 창출 8g, 진피 5g, 후박 4g, 감초 2g
복용법 _ 위의 약재와 생강 3쪽, 대추 2개, 물 250ml를 약탕기에 담고 약 1시간 30분 동안 약한 불에 달인다.
주의사항 _ 소화불량이 반드시 식적 때문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이 처방을 복용하고도 소화불량이 개선되지 않으면 한의사와 상의하기 바란다.
3 _ 사군자탕(四君子湯)

기운이 빠졌으므로 기운을 보충해 주는 방법이야말로 가장 직접적이다.
사군자탕은 한의학에서 기운을 보해주는 대표적인 보양제다. 본 처방에서 인삼이 가장 대표적인 약이다. 인삼 한 가지만 복용하는 것보다는 사군자탕으로 복용함으로써 인삼의 약효를 부드럽게 하면서 온몸으로 기운을 보내주게 된다.
구성 약재 _ 인삼, 백출, 백복령, 감초
복용법 _ 위의 약재와 물 300ml를 약탕기에 담고 약 2시간 동안 약한 불에 달인다.
주의사항 _ 입이 마르면서 갈증이 심한 경우, 대변이 딱딱할 정도의 변비인 경우, 가슴이 답답하거나 가슴에서 열이 나는 경우, 잠을 잘 못 자는 경우는 복용을 중단한다.
[TIp]
가을철 유난히 허약해지기 쉬운 폐
폐를 보하는 약
폐는 인체의 기를 주관한다. 가을에는 공기가 건조하여 호흡기 질환(기침, 식은땀, 가래, 숨가쁨 등)을 앓고 있는 분들이 매우 힘들어하는 계절이다. 그래서 폐의 기능을 북돋워 주고 기를 잘 조절하면 호흡기 기능이 좋아지면서 증상도 개선된다. 기침, 가래, 급만성 폐렴, 기관지천식, 기관지확장증, 결핵 등 호흡기 질환에 활용하는 대표적인 보약이다.
삼기보폐탕(三氣補肺湯)

폐의 기운과 폐의 진액을 북돋워 주고, 신의 진액, 즉 음기를 북돋워 준다. 기침 가래 (피고름 가래) 등을 없앤다. 진해거담, 강장 작용이 있다. 만성 기관지염, 폐결핵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숙지황 6g, 진피·맥문동·인삼·황기·백출·백복령·당귀·산수유·산약·오미자·감초 2g씩, 목단피 4g, 생강 3쪽
맥문동탕(麥門冬湯)

폐의 진액과 위의 진액을 북돋워 주며, 위로 치솟는 기운을 내려 주면서 후두 부위가 마르고 자극감이 있는 것을 좋게 한다. 위로 기운이 치솟게 되면 얼굴이 붉그스레해지고, 목구멍이 마르며, 막힌 것 같고 기침을 하게된다.
진해거담, 염증을 없앤다.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만성 폐렴, 급성 및 만성 인후두염, 후두결핵, 폐결핵 등에 쓴다.
맥문동 10g, 반하 5g, 인삼 4g, 감초 2g, 대조 3개, 백미 10g
[보약에 대한 잘못 알고 있는 상식]
Q 보약에 부작용은 없나요?
아무리 비싼 보약이라 할지라도 몸에 좋지 않으면 안 먹은 것보다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의 부족한 면이 어떤 것인지 체질과 증상을 고려하여 진단한 후에 그에 맞게 복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칫 잘못 복용할 경우 소화불량, 설사, 변비, 두통, 상열감, 불면, 가슴 답답함, 손발 저림, 몸에 두드러기 등이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