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석 한방병원장
한의학에서는 대우주인 자연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들이 소우주인 인체에 영향을 미치면서 인체의 변화가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름철의 느긋한 생활 규칙을 유지하면 가을에 체력이 달리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한의학에서는 가을을 어떻게 생각할까요?
첫째, 가을은 모든 식물들의 성장이 평정을 이루는 계절입니다. 즉, 성장이 멈춰지고 열매를 수확하는 시기라는 얘기입니다.
둘째, 가을은 가을바람이 점점 다가옴에 따라 하늘의 기운은 조급해지고, 땅의 기운은 맑아지는 계절입니다. 또 가을은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는 시기로, 사람들의 생활 규칙에 변화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끝으로 가을은 관리가 필요한 계절입니다. 여름에 땀을 많이 흘려 늘어진 피부, 허약한 체력을 그냥 두면 감염성 질환에 걸리기 쉽습니다. 가을은 여름에 생긴 피로를 제때에 풀고, 추운 겨울을 대비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한의학에서 「건강하다」는 것은 음양(陰陽)의 조화, 장부(臟腑)의 균형, 기혈(氣血)의 조화로서 「한곳에 치우치지 않는 상태」, 즉 모든 관점에서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육체적인 장부와 정신을 하나로 본다는 점에서 서양 의학과 차이가 있습니다.
보약의 기능
가을은 인체의 장부와 연결시킬 때 폐, 대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폐는 코·목·후두·대장·피부 등과 관련이 있는데,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가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또 여름철의 찬 음식 과다 섭취, 식중독 등으로 인해 대장이 피로한 상태입니다. 겨울에는 신체의 리듬을 빨리 되찾기 위해 대장을 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의학에서는 보약과 보양식을 추천합니다.
보약(補藥)이란 물질대사를 왕성하게 하고, 생체의 반응성을 높임으로써 신체의 기능을 바로잡는 약을 말합니다. 보약은 일반적으로 몸의 한 장기나 조직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몸의 전반적인 기능에 고루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그래서 보약은 몸을 보하고, 튼튼하게 할 목적 이외에 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많이 쓰입니다.
보약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됩니다.
인체의 기운을 도와주는 보기(補氣)약, 혈액을 북돋워주는 보혈(補血)약, 따뜻한 온기를 북돋워 주는 보양(補陽)약, 음기를 북돋워 주는 보음(補陰)약입니다. 또 육장(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 심포)과 육부(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세분화됩니다.
보약에는 인체에 필요한 단백질, 탄수화물, 유기산, 아미노산, 미량원소, 비타민류 등이 들어 있습니다.
보약은 신체의 대사 기능을 높이고, 영양을 좋게 하며, 조직의 기능을 바로잡습니다. 또 혈액을 보충하고, 적혈구 수를 늘려 빈혈 증상을 낫게 하기도 합니다. 보약은 진액을 보하고, 양기를 북돋워 주기도 합니다. 제철에 나오는 가을철 재료로 풍성한 웰빙 상차림을 차리는 것도 보약에 못지않은 건강 유지 비법입니다.
병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
2006년 6월에 개원한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은 국내 유일의 양한방 협진병원으로, 그동안 환자들의 질환 치료는 물론, 질병 예방과 관리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먼저 마음을 다스린 후에 장부의 질환을 다스리라」 (선치기심 후치기장부 - 先治其心 後治其臟腑)는 말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닙니다. 月刊朝鮮 독자 여러분들이 가을을 건강하게 보낼 마음으로 이 책을 펼쳤다면, 이미 가을을 건강하게 보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병을 치료하는 것보다 평소 건강할 때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불치이병 치미병-不治已病 治未病)는 얘기도 있습니다.
저희 병원은 月刊朝鮮이 이번 10월호에 「가을철의 보약과 보양식」이라는 특집 부록을 제작한다는 얘기를 듣고 흔쾌히 응했습니다. 이 작은 책자가 독자들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가을철을 보내는 좋은 지침서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月刊朝鮮과 독자 여러분께 늘 건강이 함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