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별책부록
  1. 2005년 9월호

상명사대부속女高 논술반 시기별 토론진행 도서 목록(담당교사 권희정)

著者無   

  • 기사목록
  • 프린트
  ·「부자의 그림일기」 (中 「目論」) 오세영 - 내 안의 이중성
 
  ·「아우를 위하여: 황석영 단편집」 (中 「입석부근」) - 황석영 자기 발견, 성장
 
  ·「아주 철학적인 하루」 피에르 이브 부르딜 - 질문과 호기심, 철학적 사고
 
  ·「처절한 정원」 미셸 깽 - 도덕심과 역사의식, 타인 배려, 유머
 
  ·「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 자아실현의 의지
 
 
  1학년 2학기 독서토론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로버트 뉴턴 펙 - 성장의 의미
 
  ·「갈매기의 꿈」 리차드 바크 - 자아실현의 가치
 
  ·「큰 물고기」 다니엘 월러스 - 아버지, 우화적 서사, 웃음과 상상력
 
  ·「어린왕자」 생 텍쥐베리 - 사랑, 실존주의 1
 
  ·「변신」 프란츠 카프카 - 소외, 실존주의 2
 
  ·「여성시대에는 남자도 화장을 한다」 최재천 - 여성, 생물학
 
  ·「다빈치 코드」 댄 브라운 - 종교, 여성, 신화
 
  ·「사람의 아들」 이문열 - 종교, 윤리
 
  ·「인간의 역사를 바꾼 전쟁 이야기」 남경태 - 전쟁, 세계사
 
  ·「파리대왕」 윌리엄 골딩 - 인간본성, 제도의 기원
 
 
  1학년 겨울방학 독서토론 목록
 
  ·「신화 읽어주는 남자」 이경덕 - 인간본성, 신화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이은희 - 생물학, 신화
 
  ·「발견하는 즐거움」 리처드 파인만 - 과학, 창의성
 
  ·「시계가 없는 나라」 에반 티 프리차드 - 시간의식, 자연관
 
  ·「난 몇 퍼센트 한국인일까」 강정인 - 서구중심주의
 
  ·「인터넷은 휴머니즘이다」 데이비드 와인버거 - 인터넷, 문화비평
 
 
  2학년 1학기 독서토론 목록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D.A.그라닌 - 시간관리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N.골드버그 - 글쓰기
 
  ·「어찌 이방이 사또를 치리오」 김광수 - 논리학, 비판적 사고
 
  ·「소크라테스의 변명, 진리를 위해 죽다」 안광복 - 철학과 삶, 변론
 
  ·「우리 역사 이야기 2」 장콩 - 역사적 문제의식, 역사 추론
 
  ·「말랑하고 쫀득한 세계지리 이야기」 케네스 C. 데이비스 - 지리적 문제의식, 공간 추론
 
  ·「역사를 알면 세상이 달라 보인다」 정기문 - 역사와 사회의 의미 탐색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홍세화 - 사회적 문제 설정과 탐색법
 
  ·「사회를 보는 논리」 김찬호 - 구체와 추상으로 사회 현상 파악
 
 
  2학년 여름방학 독서토론 목록
 
  ·「나는 아름답다」 박상률 - 고등학생의 정신적 고독과 자아 발견
 
  ·「즐거운 글쓰기」 루츠 폰 베르더 外 - 글쓰기
 
  ·「문화로 읽는 중국(어느 인문학자의)」 박영환 - 중국의 문화와 역사
 
  ·「당신들의 천국」 이청준 - 봉사와 이타적 행위의 이율배반
 
  ·「헌법의 풍경」 김두식 - 법과 사회
 
  ·「걸리버 여행기」 조나단 스위프트 - 인간본성, 풍자
 
  ·「호모 에티쿠스」 김상봉 - 윤리학, 철학
 
 
  2학년 2학기 독서토론 목록
 
  ·「왼손과 오른손」 주강현 - 문화, 주류와 비주류, 억눌린 것들의 복권
 
  ·「나는 대한민국의 교사다」 조벽 - 한국 교육, 새로운 교육에 관한 아이디어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 수학적 사고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 과학기술의 미래에 대한 성찰
 
  ·「오래된 미래」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 환경친화적 삶의 방식과 파괴의 체제
 
  ·「핀치의 부리」 조너던 와이너 - 생물학, 진화론, 과학탐구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 사회심리, 철학
 
 
  2학년 겨울방학(논술과 구술 연습 - 1회 2시간, 10회)
 
  · 논술기초: 교재로 진행
 
  · 면접기초: 교재로 진행
 
  · 면접실제: 교재 및 캠코더 촬영 및 분석, 공동평가
 
 
  3학년 1학기(논술과 구술 연습 - 주 2회, 18회)
 
  - 수업 횟수를 늘려 자주 써보고 토론하고 공동으로 평가한다. 위의 방식과 유사.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