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별책부록
  1. 2005년 9월호

「논술만점 가이드」⑤ 2006학년도 논술 출제 예상 | 무엇이 출제되고,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새로운 사회 흐름을 다루는 문제는 자주 출제된다

著者無   

  • 기사목록
  • 프린트
마상룡 대성학원 논술면접팀장

[진행·정리]
李相欣 월간조선 기자〈hanal@chosun.com〉
李相姬 월간조선 조사요원〈gwiwon27@chosun.com〉
  전국 대학의 2005학년도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에서 출제된 논술 문제를 주제에 따라 분류해 보고, 이에 따른 대비 방향을 알아보자.
 
 
  ● 현대 사회의 문제와 문명의 위기에 대한 문제
 
  -갈등의 다양한 양상과 그것의 긍정적·부정적 영향
 
  -민주주의의 선거 제도와 추첨제의 가능성
 
  -현대인의 삶에서 질병과 죽음의 의미
 
  -개인, 혹은 집단들 사이의 대화의 상호 이해와 그 가능성
 
  -다양한 문명 간의 충돌과 문명의 역사 과정에 개입하는 변수들
 
  -현대 법치주의 사회에서의 법의 의의
 
  -개인의 자발성과 사회성의 조화 문제
 
  -인터넷에서 허용될 수 있는 표현 자유의 한계
 
  -정보화 시대의 감시와 통제의 위험성
 
 
  정보화나 세계화, 첨단 과학화로 인해 현대 사회나 문명이 산업 사회나 그 이전 시대와는 질적으로 다르게 변했다. 사회의 새로운 흐름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개인과 집단 간의 문제 곧 개인과 사회의 조화」, 「합리화와 효율성」, 「디지털 문명의 의의와 문제점 및 극복 방안」, 「가상 공간의 특성과 문제점 및 그 윤리, 이성 중심주의와 서구 중심주의」, 「탈식민주의와 정체성 형성」, 「동일성과 차이」, 「인간 내면의 황폐화와 생태계 파괴」, 「바람직한 세계화」 등의 문제는 그중에서도 핵심을 차지한다.
 
  「시장경제 체제의 원리와 한계」, 「인간 중시 및 절제나 중용 등 동양적 지혜의 의의와 한계」, 「다양한 갈등에 대한 이해와 그것의 해결 방안」, 「그러한 갈등의 해결 방안의 하나로 제시된 민주주의가 가지고 있는 문제」 등은 논술 문제의 주제로 가장 빈번히 출제되곤 하는 문제들이다.
 
  논제에서 지적한 「현대 사회」를 무엇으로 진단하는가를 포착해야 한다.
 
 
  ● 문화와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
 
  -대중문화와 역사적 권위의 해체
 
  -문화 다양성의 의미와 중요성
 
  -현재와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주체적이면서도 보편적인 문화의 힘
 
  -대중문화, 특히 대중음악에 대한 올바른 관점
 
  -대중문화가 가지고 있는 환상적 성격의 문제
 
 
  2005학년도의 경우는 「세계화 시대의 문화적 중요성」을 반영한 문제가 많이 출제됐다.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문화의 힘, 문화 다양성의 필요성과 의의를 묻는 문제들이었다.
 
  근대화가 우리에게 한편으로 서구화이었듯이, 세계화 또한 서구화 혹은 미국화라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세계화는 미국이나 서구의 문화가 전 세계를 지배하는 획일화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대중문화는 상업성과 폭력성·선정성과 같은 문제를 갖고 있다. 대중문화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묻는 문제, 대중문화가 역사적 권위를 해체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수험생들은 대중문화의 기본적인 성격과 장·단점,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하위문화나 주변문화의 성격에 대해서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 과학과 학문의 방법론에 대한 원론적 이해
 
  -가치나 사실 판단에서 판단의 준거와 척도의 문제
 
  -과학 분야에서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의미
 
  -과학의 객관성과 주관성의 문제
 
  -과학 지상주의의 오류와 해결책
 
  -객관성과 주관성, 그리고 올바른 인식의 방법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식과 숙련된 노동의 가치와 의미
 
  -지식인 사회의 문제점과 올바른 지식인의 탐구 자세
 
  -토론 부재 상황의 원인과 문제점
 
  -자유의 개념과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 방법
 
  -기초학력 미달 현상의 원인과 해결 방안
 
 
  급격한 사회적인 변화는 학문과 과학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도 반성을 요구하고 있다. 자연과학적 방법론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에 대한 객관적이고 냉정한 반성을 통해 새로운 학문의 방법론과 진리의 개념을 도출하려는 시도들이 학계를 중심으로 일고 있다.
 
  팔방미인형 지식인이 바람직한지, 또는 전문가형 지식인이 필요한지를 묻는 문제,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지식인과 지식인의 태도에 대한 문제들은 수험생들이 반드시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 과학 기술의 발전과 윤리의 상충
 
  -인체 실험과 인간의 존엄성 문제
 
  -CCTV와 줄기세포 복제 등의 과학 기술의 발전과 윤리의 문제
 
  -남극 대륙에 대한 소유권과 바람직한 이용 방법
 
  -낙태된 태아의 세포를 의학적 연구에 이용하는 문제
 
 
  생명공학은 파킨슨병,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암, 에이즈 등의 난치병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하지만 정자와 난자가 결합된 생명체인 수정란을 파괴하거나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등의 생명 경시 풍조를 만연시킬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빛과 그림자를 함께 가지고 있는 현대 첨단 과학 기술에 대한 올바른 태도는 21세기 정보화와 생명공학의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반드시 필요하다. 생명공학이나 유전공학과 관련한 윤리적·종교적 문제, 생명 윤리의 원칙, 시민 참여를 통한 생명 기술의 민주적 통제 등에 대해 정리해야 한다.
 
 
  ● 인간의 윤리와 정체성에 관한 문제
 
  -인간의 존엄성과 도덕 공동체의 건설 방법
 
  -개인의 실존과 대중의 익명성 문제
 
  -행복의 조건으로서의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안락
 
  -나이듦과 욕망의 문제
 
  -환상·신화·축제 등 현대 사회 안에서 비일상성이나 비현실성이 지니는 기능
 
 
  개인과 집단의 문제, 민족주의와 인류애의 문제 등은 인간과 사회를 둘러싸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들이다. 대중사회의 특징인 익명성, 인터넷과 같은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도 자주 출제되는 주제다. 종교와 신화, 환상과 축제 등이 상상력의 복권과 함께 각광받고 있다.
 
 
  ● 시사적인 문제와 관련된 주제들
 
  -호주제의 원인과 그것에 대한 견해
 
  -공기업의 민영화와 관련된 효율성과 형평성의 문제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과 대책
 
  -여성의 능력과 양성 평등의 문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 문제
 
  -경제 성장의 필요성과 반기업 정서의 문제
 
  -개인적 이기주의와 지역의 집단적 이기주의의 문제
 
  -실리와 명분의 측면에서 한국군의 이라크 파병 문제
 
 
  한국외국어大에서는 「김선일씨의 피살 사건과 한국군의 이라크 파병」, 숙명女大에서는 「출산율 저하의 문제점」이 출제됐다. 당시의 시사적인 쟁점을 그대로 논술로 반영한 것이어서 선명한 인상을 주었다.
 
  소수자의 차별 문제와 그것을 철폐하기 위한 방안들, 외국인이나 동성애자 등의 소수자의 인권 문제들이 중요하게 부각하고 있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