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별책부록
  1. 2005년 9월호

「논술만점 가이드」④ 논술고사 출제경향 분석 | 연세大

일상에서 누구나 느끼는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봐야 한다

著者無   

  • 기사목록
  • 프린트
[진행·정리]
李相欣 월간조선 기자〈hanal@chosun.com〉
李相姬 월간조선 조사요원〈gwiwon27@chosun.com〉
  연세大는 수시 논술을 시행하지 않고 정시모집에서만 논술고사를 실시하고 있다. 연세大 논제의 특징은 다른 대학과 달리 현대 사회나 문명의 핵심적인 문제를 좀더 일반적인 맥락에서 고찰하고 자신의 생각을 펼치도록 요구한다.
 
  1999~2002학년도까지의 논제로는 「세 이야기 속의 주인공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역할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사회적 기능과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논술」, 「세 글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사고 방식의 특성을 설명하고 그것이 오늘날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삶에 미친 영향과 한계를 논술」, 「세 제시문에서 설명하고 있는 현대 문명이 빚어 내는 부정적 현상들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개인과 집단의 동의 유형」, 「선언문의 순기능과 역기능」, 「동일한 사물과 사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차이점과 그 사회·문화적 의미」, 「지식과 문화가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에 귀속되는 현상」 등이 출제되었다.
 
  연세大는 2003학년도부터 출제경향이 뚜렷이 바뀌었다. 우선 제시문의 분량이 이전에 비해 대폭 줄어들고, 제시된 자료도 문장 자료뿐만 아니라 사진이나 그림 자료가 제시되었다는 점이다.
 
  논제도 핵심어를 중심으로 현대적 삶의 특성과 현대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성찰하고 문제 극복 방안을 모색하도록 요구하는 쪽으로 출제되었다. 평소에 독서나 예술 감상 등을 통해 나름대로의 풍부한 배경 지식을 갖춘 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받도록 되어 있다.
 

 
  독특한 사고력과 창조적 발상을 평가
 
  연세大는 다음과 같이 출제의 기본 방향을 밝혔다.
 
  연세大의 경우 제시문은 문장 자료뿐만 아니라 그림이나 사진·광고·표 등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고, 논술의 주제가 일상 생활을 관통하는 핵심어를 중심으로 출제된다.
 
  예를 들어, 2005학년도 논술 문제는 『제시문에 담긴 「세월에 흘러감」에 대한 생각을 「욕망」과 연관시켜 분석하고 자신의 의견을 논술』하라는 것이다. 이 문제에서 특징적인 것은 네 가지이다.
 
  첫째, 논제가 「나이듦」과 「욕망」 같은 일상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는 일상 속에서 누구나 겪는 아주 평이한 문제를 얼마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논제의 핵심어인 「욕망」에 대한 배경 지식이 제시문에 나와 있지 않다. 이것은 나머지 제시문에 나오는 「나이듦」과 연관짓되 제시문 이외의 학생들의 독서 체험과 생활 체험에 근거하여 욕망에 대한 생각을 따로 정리해야 한다.
 
  셋째, 논제와 함께 제시된 자료 5개 중에는 그다지 익숙하지 않은 티치아노의 회화가 포함되어 있다. 논술 문제의 자료로 그림이 주어진 것은 다양한 텍스트에 대한 분석력과 해석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출제자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넷째, 논술문의 첫머리에 「자신의 주장을 드러내는 글의 제목을 달라」는 요구 사항이 부가되어 있다. 출제자가 제목을 붙이라고 요구하는 의도는 자신의 논지가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드러낼 수 있는 제목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려는 것이다.
 
 
  새롭고 참신한 논리 통해 설득력 있는 주장해야
 
  4개의 제시문과 하나의 그림 자료는 「세월의 흘러감」이나 「나이듦」에 대하여 모두 비판적인 견해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보여 주고 있다.
 
  제시문 (가)는 삶의 허무함과 세월이 지나감의 덧없음을 한탄하고 있으면서도 세월의 무상함 자체가 만고불변의 진리임을 강조한다.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비애에 빠진 어리석음을 꼬집고 있다.
 
  제시문 (나)는 성경의 한 구절로서 인간이 한평생 고생해서 이루어 놓은 업적을 자신이 누리지 못하고 죽는 것에 대한 삶의 무상함을 탄식하고 있다.
 
  제시문 (다)는 젊은이와 노인의 기질과 특성을 아주 극단적인 방식으로 대비하고 있는데, 젊은이는 혈기 왕성해서 매사에 의욕적이고 진취적이지만 노인은 속이 좁고 기운이 시들해져 비겁하다는 것이다.
 
  그림 (라)는 좌측에 남녀 한 쌍이 청년기의 모습으로 사랑을 나누고 있는 모습이 두드러지게 전경(前景)으로 부각되어 그려져 있으며, 우측 하단에는 인간의 유아기 모습이, 그리고 상단의 중간쯤에는 양손에 해골을 든 노인의 모습이 후경(後景)으로 멀찌감치 그려져 노년기를 형상화하고 있다. 작가는 인간의 세 시기 중 청년기를 가장 아름답고 황홀한 시기로 묘사하고 있다. 그와 대조적으로 노년기는 처량한 시기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제시문 (마)는 예이츠의 시(詩)로서 화자 「나」는 들끓는 젊음을 상실한 채 대리석처럼 늙어감을 한탄하고 있다. 나이가 들어 늙어 간다는 것은 인생사와 사물의 이치를 알아서 뭐든지 절제한다는 것이고, 이것은 뜨거운 열정과 불 같은 실천력을 상실해 간다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욕망의 의미에 대해 정리하고, 다음으로 제시문에 나타난 나이듦의 의미를 욕망과 연관지어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나이듦과 욕망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전개하면 된다.
 
  제시문의 주장을 반박하는 주장을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당한 위험과 부담이 따른다. 노인은 젊은이보다 어른이며 경험이 풍부해서 지혜가 더 많다는 식의 일반론적이고 식상한 논거가 아닌, 새롭고 참신한 논거를 통해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펼칠 수 있다면, 제시문의 입장과 반대되는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