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漢字語)를 한글로 표기하는 것은 발음부호를 붙이는 것인데, 의미 전달에 지장을 줄 때가 많다.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가 많기 때문이다. 「전력이 줄었다」고 할 때 그 「전력」이 「電力」인지 「戰力」인지는 앞뒤를 맞춰 보아야 알 수 있다. 「부상했다」고 써 놓으면 「다쳤다」는 뜻인지 「떠올랐다」는 뜻인지 알 수 없다. 앞뒤를 연결시켜 보면 알 수 있겠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암호를 푸는 행위이지 독서가 아니다.
글의 1차적 목적이 정확한 의미 전달이므로 漢字와 한글 혼용을 버리고 한글 전용으로 가는 것은 한국어의 약 70%를 암호로 만드는 모국어(母國語) 파괴행위이다. 지금처럼 한글 전용이 오래 간다면 한국어는 이런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한국어=70%의 암호+30%의 본능(감정+자연현상)語」
언어는 인간의 사고(思考)를 지배한다고 한다. 암호와 본능이 뒤섞인 정신세계를 생각해 보라. 안개 속에 들어가 있는 것처럼 막연하고, 뜨거운 감정과 즉흥적인 본능이 분출하는 머릿속! 맑은 논리와 깊은 성찰을 통해서만 우러나오는 창조와 예술이 이런 정신에서는 생겨나지 않는다. 한글 전용은 인간을 일차원적(一次元的)인 가볍고 천박한 존재로 만들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거짓 선동에 잘 넘어간다. 한국 사회의 두 가지 흐름인 좌경화와 저질화의 바탕에는 한자 말살에 의한 이성(理性)의 실종사태가 있다.
한자를 모르면 우리나라 단어의 약 70%, 그것도 고급의 개념과 사유(思惟)를 담고 있는 낱말의 뜻을 정확히 모르게 된다. 한자를 모르면 철학서·역사서·법률서적을 읽을 수 없다. 전통문화가 들어 있는 정보창고를 열 수 있는 열쇠가 없으면 뿌리 없는 인간이 된다. 이런 사람들이 쓰는 글도 가볍고 잘 흔들릴 것이다. 예컨대 한자를 모르면 이런 글도 쓸 수 없다.
<경주박물관에 있는 신라성덕대왕신종(新羅聖德大王神鐘)은 별명이 봉덕사종(奉德寺鐘)이고, 속칭은 에밀레종이다. 이 종에 새겨진 640여 자의 송사(頌詞)가 있다. 그 가운데 「원공신체(圓空神體)」라는 말이 있다. 이 범종이 그냥 종이 아니라 그 형상이 둥글고 그 속이 비어 있으므로 바로 이것이 「신(神)의 몸」이라는 뜻이다.
神의 속성을 원공(圓空), 즉 둥글고 속이 빈 존재로 규정한 것이 참으로 의미 깊다. 원만하면서도 속이 비어 있는 사람을 상상해 보라. 그런 사람은 하느님을 닮은 사람이다. 그런 사람을 형상화한 것이 에밀레종이고, 神의 모습이다. 神은 둥글둥글해서 누구와 싸우지 않으며 속이 텅 비어 있어 모든 것, 즉 갈등과 청탁(淸濁)까지도 다 받아들여 하나의 질서로 융합한다. 에밀레종은 바로 그런 神의 소리인 것이다>
한자를 멀리하고 싶은 사람은 글을 아예 쓸 생각을 말아야 한다.

좋은 글은 주제(主題)가 선명하고 구체적이다. 그런 글은 읽고 나면 가슴에 남는 그 무엇이 있다. 그것은 감동일 수도 있고 정보일 수도 있다. 관념적인 글보다는 사례와 사실이 많은 구체적인 글이 좋은 글이다. 적절한 통계와 사례가 글의 설득력을 높여 주기 때문이다.
글은 리듬과 흐름이 있어야 한다. 독자가 물 흐르듯 편하게 읽어 내릴 수 있어야 한다. 「또, 그러나, 반면, 그런데」 같은 말들이 문장 앞에 붙으면 글의 흐름이 끊어진다. 글을 써 놓고 소리 내어 읽어 가면서 고쳐 보라.
「그는 시합에 나가기만 하면 금메달을 딸 정도로 실력이 좋았다」는 식의 문장을 버리자. 이런 문장은 자신이 쓴 글을 자신이 강조하는 일종의 선전문(宣傳文)이다. 「그는 시합에 나가기만 하면 금메달을 따왔다」고 쓰면 되지 여기에 굳이 「~정도로 실력이 좋았다」는 의미를 독자들에게 강제할 필요가 없다. 글은 담백한 마음으로 써야 한다. 독자들의 몫까지 빼앗아 갈 필요가 없다. 한국인의 글은 대체로 설명과 강조가 지나치다.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많은 정보와 좋은 문장과 교양 있는 낱말들이 입력(入力)될 때 명문(名文)이 자연스럽게 출력(出力)된다. 많은 입력은 결국 독서를 통해서 하는 것이다. 명문과 名연설을 많이 읽자. 책상 위에 항상 국내외의 명언집(名言集)을 두고 심심할 때 읽어 보자.
좋은 글은 읽는 이들을 의식하고 계산하며 쓴 글이다. 글의 소비자를 무시하고 써 대는 글은 아무도 읽어 주지 않는다. 자기가 쓰고 싶은 글보다 독자들이 읽고 싶은 글을 쓰자. 좋은 글은 타이밍이다. 독자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을 빨리 써야 많이 읽힌다. 널리, 빨리 읽히는 글이 대체로 좋은 글이다.
결국 아는 것만큼 쓸 수 있다. 많이 정확히 알아야 잘 쓸 수 있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잘 쓰려고 할 때 기교가 등장한다. 취재와 조사(調査)와 분석을 잘하면 좋은 글은 의외로 쉽게 빨리 써진다.
[논술 포인트]
자신의 견해 드러내기
쉽게 말하지 말자. 논술에 나오는 주제 중에 「~만 해결되면 쉽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주제는 하나도 없다. 교과서적인 진술, 너무 낙관적인 진술도 피하자.
(이 책에 실린 「논술 포인트」는 박학천 논술학원 제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