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전시] 태백산 적멸보궁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국보 승격 기념 전시 《자신을 섬으로 하여》

9월 4일부터 10월 6일까지 서울 봉은사와 정선 강원랜드, 정선 아리샘터에서

하주희  월간조선 기자 everhope@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자신을섬으로하여_포스터.jpeg

 

정암사 수마노탑의 국보 승격(2020년)을 기념하는 전시 《자신을 섬으로 하여》가 열린다. 강원도 정선에 있는 정암사(주지 천웅스님)는 우리나라의 5대 적멸보궁 중 하나다. 신라 자장율사가 645년에 창건했다. 전시의 테마 ‘자신을 섬으로 하여’는 부처님의 유훈 중 한 구절에서 따왔다. ‘자신을 섬으로 하고, 자신을 귀의처로 하고, 다른 것을 귀의처로 삼지 말라. 가르침을 섬으로 하고, 가르침을 귀의처로 하고, 다른 것을 귀의처로 삼지 말라’ (<상윳따 니까야> 47:9) 흔히 고해(苦海)로 표현되는 인생 길에서 우리들은 잠시라도 지친 몸을 의탁할 수 있는 섬을 찾아 헤맨다. 오직 자기 자신과 진리에만 기대라는 말씀이다.

한국 현대미술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작가 12명, 권오상, 권도연, 김재홍, 서고운, 전제훈, 주영신, 정보영, 이명호, 이진주, 이정배, 이승연, 하태임은 정암사 수마노탑을 답사해 영감을 받아 신작을 제작하거나 출품했다. 이들의 독립된 작업은 ‘섬’처럼 흩어져 연결되어 있다.

권도연 작가의 사진작업은 북한산에 버려진 유기견 무리, 동물원을 탈출해 도심과 고속도로를 배회하는 야생 동물을 포착해왔다. 밀려나고 버려진 동물들에 작가와 관객이 이입할 수 있는 이유는,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느끼는, 언젠가는 내가 살고 있는 영토에서 추방당할지도 모른다는, 어렴풋하지만 거대한 두려움을 외면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 전시 출품작 <콩나물>은 프로젝트의 프리퀄과 같은 작업이다. 유년 시절 동네 동산에서 만난 마른 개 한 마리에 콩나물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그 개가 사라진 기억을 되살려 조형물을 만들고 촬영했다. <까마귀>는 물에 잠긴 도서관에서 건진 조류도감의 페이지로 역시 새 형상을 만들고 촬영한 것이다.

 

권오상 작가의 는 부처의 두상에 요크셔 테리어 한 마리가 앉아 있는 포토 스컬처(photo sculpture)이다. 권오상 작가 특유의 기법과 만난 부처 작업 중 한 점으로, 발칙한 발상이지만 위트가 느껴진다.

 

권오상.jpg

 

김재홍 작가의 작업은 붓으로 연속적인 점을 찍어 나가는 수행의 작업 과정을 거친다. 작은 점들이 모여 거대한 부처의 미소가 완성된다.

 

서고운 작가는 불교 사상 중 ‘윤회’ 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지속해왔다. 이번 출품작은 단테의 『신곡』 중 ‘지옥편’에서 영감을 받아 지옥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병풍으로 제작한 작업이다.

병풍.jpg

전제훈 작가는 태백 탄광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 광부이자 사진작가이다. 올해(2024년) 태백과 장성의 공공 탄광이 모두 폐광하면서, 잠시 찬란했던 탄광의 영광은 역사 속으로 저물게 되었다. 역사는 소멸과 사라짐에는 냉정한 모순적 습성을 보인다. 작가는 오랜 기간 현장에서 근무하며 사라져가는 탄광과 마지막 광부의 모습을 촬영해왔다. 이번 출품작은 ‘선탄부’라는 생소한 인물을 담아 자료의 가치 또한 높은데, 선탄부는 탄을 분리하고 관리하는 여성 광부이다.

 

정보영 작가는 명상적이고 도가적인 촛불의 고요한 빛을 서양화적 기법으로 그리는 작가이다.

 

이명호 작가 역시 불교와도 맞닿아 있는 명상과 윤회의 순간을 사진으로 표현하였다.

 

주영신 작가는 신체의 장기를 작가만의 기법과 컬러로 그리는데, 이번 전시를 위해 불교 만다라를 표방한 신작을 제작하였다.

 

이진주 작가는 돌부처 머리에 불탄 종이를 감싼 작업을 신작으로 제작하였다. 유구한 시간을 상징하는 돌의 물성으로 돌부처의 뒷모습, 필멸의 불씨의 흔적, 그리고 많은 사건을 덮는 깊은 심연의 검정 여백이 화면에서 구현된다.

 

이승연 작가는 야외 철 설치작업을 선보인다. 뒤에 후광을 동반한 봉황, 해태, 고양이, 닭 형상의 조각은, 작가가 상상한 한국의 어처구니이다. 어처구니는 지붕 끝을 장식하는 한국의 전통 수호신이지만, 작가의 어처구니는 평범한 주변 인물을 표방한다.

 

이정배 작가의 <각진 동그라미> 조각은 붉은 달빛(달), 혹은 햇빛(해)이 수마노탑에 걸려 있는 형상이다. 윤회의 상징인 동그라미를 속세의 동그라미로 해석한 작품으로, 원형의 형태에 근접하기 힘든 각진 동그라미를 신작으로 제작하였다.

 

하태임 작가의 휘어진 만곡 띠는 경쾌하고 생기 있는 이미지 이면에 작가의 육체적 노동과 수행이 수반되는 작업이다. 작가가 몸을 축으로 팔을 컴퍼스처럼 활용하여 그려내는 만곡 패턴은 작가의 신체 노동의 궤적으로, 시각과 감성을 통해 감동의 파장을 전달하고자 했다.

 

전시는 9월 4일부터 10월 6일까지 총 3곳에서 열린다. 9월 4일부터 10일까지 서울 봉은사 보우당에서 시작, 9월 12일부터 9월 22일까지는 정선 강원랜드에서, 9월 24일부터 10월 6일까지는 정선 아리샘터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태백산 적멸보궁 정암사에서 주최하고 강원도 정선군과 강원랜드가 후원한다.

 

입력 : 2024.08.26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하주희 ‘블루칩’

everhope@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