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여당 더불어민주당과 민주노총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청와대와 행정부도 민노총에 대한 반감을 여과없이 드러내는 중이다. 민노총이 정부 정책에 사사건건 반대하고 총파업까지 예고하면서 정부와 여당 측은 "이제 우리 편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잇달아 밝히는 형편이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12일 기자간담회에서 민노총을 향해 “대화를 해서 뭐가 되는 곳이 아니다. 항상 폭력적 방식이고 자기들 생각을 100% 강요하려 한다”고 격하게 비난했다. "미국이면 테러감"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홍 원내대표는 한국GM의 전신인 대우차 초대 노조위원장을 거쳐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을 지낸 여권의 대표적인 친노동계 인사다. 지역구도 GM 공장이 있는 인천 부평이다.
민주노총과 한국GM 노조는 GM 한국법인 분리에 반대하며 지난 8일부터 홍 원내대표의 지역 사무실을 닷새째 점거 중이다. 이들은 홍 원내대표가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노조와 대화에 응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지난 7월 노조의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 감금, 2012년 스테판 자코비 회장 방한 당시 폭력 사태 등을 언급하며 “노조가 대화할 의지가 없고, 자기들 생각밖에 하지 않아 이기적이다. 사과하지 않으면 만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또 “요즘 너무 속상하고 모멸감을 느낀다. 솔직히 GM(사측)도 잘한 건 없지만 GM(노조)의 문제는 폭력을 잘 쓴다. 최근에도 노조가 사장을 감금해서 난리가 난 적이 있다”며 “이건 미국 같은 나라에서는 테러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런 일들이 너무 많은데 한국GM 노조는 반성을 전혀 안 한다”고 했다.
그는 특히 “민주노총은 대화를 해서 뭐가 되는 데가 아니다. 항상 폭력적 방식”이라며 한국GM 노조가 속한 민주노총을 싸잡아 비판했다.
이후 홍 원내대표는 카젬 한국GM 사장과 국회에서 면담한 후 공개 언론브리핑을 자처해 한국GM 노조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홍 원내대표는 “노조가 카젬 사장을 감금하니까 디트로이트가 난리가 났다”며 “노조가 고용이 불안하고 미래가 불확실해 그랬다는 마음은 충분히 알지만, 그렇게 폭력적 방식으로 한다면 문제가 풀리겠느냐”고 했다. 이어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과는 대화를 못 한다는 게 글로벌 GM의 방침”이라며 “미국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그는 특히 “민주노총은 대화를 해서 뭐가 되는 데가 아니다. 항상 폭력적 방식”이라며 한국GM 노조가 속한 민주노총을 싸잡아 비판했다.
이후 홍 원내대표는 카젬 한국GM 사장과 국회에서 면담한 후 공개 언론브리핑을 자처해 한국GM 노조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홍 원내대표는 “노조가 카젬 사장을 감금하니까 디트로이트가 난리가 났다”며 “노조가 고용이 불안하고 미래가 불확실해 그랬다는 마음은 충분히 알지만, 그렇게 폭력적 방식으로 한다면 문제가 풀리겠느냐”고 했다. 이어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과는 대화를 못 한다는 게 글로벌 GM의 방침”이라며 “미국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 |
GM 인천 부평공장 본관 사장실 앞 복도에서 연좌농성 중인 노조원들. 사진=뉴시스 |
그러면서 “긴박한 위기상황에서 협상하는데도 책상을 집어 던지고 감금하고, 때려 부순다. 제발, 아무리 노조가 화가 나도 대화는 서로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에서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내가 나설 수 있는 일이 있고, 나설 수 없는 일도 있다”며 노사 문제만 발생하면 지역구 국회의원을 찾아 압박하는 노조의 태도도 지적했다. 이어 “국회의원으로 정말 모욕감을 느낀다”며 “노조가 선거 때만 표나 구걸하고 다닌다는 유인물을 만들었는데 정말 화가 난다”고 했다.
민노총에 대해 여당은 물론 청와대와 정부 측의 시선 역시 매우 부정적이다.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은 6일 국회 운영위 국정감사에서 “민노총과 전교조는 더 이상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친 노조 성향으로 민노총의 지지를 받고 있는 장하성 정책실장을 전격 경질한 것도 정부와 노동계의 갈등이 드러난 것으로 분석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민주노총 위원장을 만나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를 요청했지만 민노총은 이를 거부하고 오는 21일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민주노총의 전국적 규모 총파업은 2016년 11월 박근혜 정부 퇴진 요구 총파업 이후 처음이다.
글=권세진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