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설 당일인 25일 삼지연극장에서 명절 기념공연을 관람했다고 26일 보도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정일의 동생이자 장성택의 부인이었던 김경희 전 노동당 비서가 6년여만에 공개석상에 등장했다. 맨 앞줄 오른쪽에서 두번째가 김경희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캡쳐
북한 김정은의 고모인 김경희 전 노동당 비서가 모습을 드러냈다. 김정일의 여동생인 김경희가 공개석상에 모습을 보인 것은 장성택이 처형된 이후 6년만이다.
조선중앙통신은 26일 "김정은이 1월 25일 삼지연극장에서 설명절 기념공연을 관람했다"고 보도하면서 이날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에서 김경희는 김정은 부인 리설주와 김정은 여동생 김여정 사이에 앉아 공연을 관람하고 있다. 이날 공연을 관람한 주요 인물들은 최룡해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리일환 노동당 부위원장, 조용원·김여정 당 제1부부장, 현송월 부부장이 있었다.
74세인 김경희는 김정일의 유일한 친동생으로 '백두혈통' 2세대 중 유일한 생존자다. 그러나 2013년 9월 9일 이후 김경희는 공개석상에서 자취를 감췄고 같은해 12월 남편 장성택은 처형 당했다. 김경희 역시 숙청설 및 사망설이 떠도는 상태였다.
74세인 김경희는 김정일의 유일한 친동생으로 '백두혈통' 2세대 중 유일한 생존자다. 그러나 2013년 9월 9일 이후 김경희는 공개석상에서 자취를 감췄고 같은해 12월 남편 장성택은 처형 당했다. 김경희 역시 숙청설 및 사망설이 떠도는 상태였다.
김경희가 6년 이상 자취를 감췄다 다시 등장한 이유에 대해서는 해석이 엇갈린다. "장성택 처형과 상관없이 건강때문에 자취를 감췄던 것"이라는 분석과 "사실상 숙청됐다가 김정은이 북한 내부결속을 다지기 위해 다시 등장시킨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외신은 지난 6년간 김경희 병사(病死)설과 자살설, 김정은의 김경희 독살설 등을 제기해왔다. 그동안 고위탈북자들의 전언에 따르면 김정은은 장성택의 측근들을 잔인한 방법으로 숙청해 왔고, 김경희 역시 숙청대상이었다. 실제로 김정은이 장성택의 측근들을 고사포 등으로 사살했다는 증언이 여러 차례 나온 바 있다. 김경희는 사실상 숙청된 상태였지만 북한이 내세우는 백두혈통의 적자이자 김일성의 유일한 딸인 만큼 이용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김정은이 살려뒀고, 적절한 시점에 모습을 드러내도록 했다는 주장이 나온다.
반면 단지 건강상 이유로 보이지 않은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26일 논평자료를 내고 "김경희는 장성택 처형 후에도 김정은 기록영화에 모습을 드러낸 바 있어 그의 공개활동 장기 중단은 장성택 처형보다는 건강 문제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경희가 신부전증, 고혈압, 뇌종양, 발가락 문제 등 다양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었다는 것이다.
현재 김경희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에서 어떤 직책도 맡고 있지 않다.
글=권세진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