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TV조선 화면 캡처
북한 어선이 삼척항에 입항한 지난 15일 박한기 합동참모본부 의장이 ‘해당 사건은 해경이 할 일’이라고 말하며, 합참에서 준비하던 보도자료 중단을 지시했다고 이 28일 단독보도했다.
이로 인해 군 차원의 공보 대응이 중단됐고, 지역해경이 일부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는 정도로 사건이 축소됐다.
방송은 백승주 자유한국당 의원의 말을 인용해 "위기관리 매뉴얼에 해경 관할이기 때문에 그래야 한다는 취지였다"며 "해경이 처리하면 사건이 적게 보이도록 역할 분담을 한 것 아니냐"고 했다.
방송에 따르면 백 의원에 지적에 대해 군 관계자는 "매뉴얼에 따르면 민간 선박은 해경이 먼저 조치를 할 때까지 별도 조치를 하지 않도록 돼 있다"며 "해경에서도 준비하는 것으로 알고 추가적인 조치는 하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
합참의 지시 이후 이틀간 사건 브리핑을 하지 않던 군은 지난 17일 언론 발표에서 '삼척항 입항'을 '삼척항 인근'으로 바꿔 브리핑했다. 당초 군 보고서에는 23사단과 동해 1함대의 경계 태세 문제와 관련된 사실도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또한 '경계에 문제가 없었다'고 바뀌었다. 다수 군 관계자들은 "당시 보고서에 '문제가 없다'는 내용은 없었다"며 "그렇게 판단한 건 지휘관의 몫이었다"고 했다. 보고서와 달리 '윗선'에서 내린 지침대로 브리핑이 이뤄진 것이라는 얘기다.
17일 언론 발표 직전 장관과 합참의장을 비롯한 군 주요 지휘자들은 대책 회의를 연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 정 장관이나 박 의장 등이 축소·은폐 브리핑 내용에 관여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비태세검열실의 보고서를 받은 청와대 국가안보실 역시 왜곡 브리핑을 방조 또는 배후 조종한 의혹을 받고 있다. 청와대는 "군 언론 발표문을 사전에 알고 있었다"고 했다. 안보실에서 군 관련 업무는 김유근 1차장이 맡고 있다.
글=정광성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