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018년 5월 9일 오후 일본 도쿄 모토아카사카 총리관저에서 한일(韓日) 확대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일(韓日) 관계의 악화가 양국 간 경제 교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keri, 이하 한경연)은 지난 14일 보도자료를 내고 “작년 10월 강제징용 판결 이후 올해 3~5월까지 한‧일 간 경제 교류 주요 지표를 분석한 결과, 실물 및 금융시장에서 양국 간 거래 관계가 위축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일본의 올해 1분기 해외직접투자(ODI, Outward Direct Investment)가 전년 동기 대비 167.9%나 증가했음에도 불구, 한국에 대한 투자는 6.6% 감소했다”며 “중국‧베트남 등 아시아권뿐 아니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국에 대한 일본의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과는 상이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한경연은 “작년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양국 간 교역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전체적으로 9.3% 줄어든 가운데, 양국 간 ‘밸류체인’(value chain, 가치사슬: 기업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원재료, 노동력, 자본 등의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중간재 교역 규모도 8.3% 감소했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금융시장에서는 일본의 한국 증시에 대한 시장 참여가 얼어붙고 있다. 작년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한국 유가증권 시장에 대한 외국인들의 순매수 규모는 358% 늘어났으나, 일본의 순매수 금액은 오히려 91.2%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한국과 일본은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역내 주요 교역국으로서 상호 협력적 경제 관계를 구축해왔다”며 “최근의 정치‧외교적 갈등이 경제 문제로 전이(轉移)될 경우, 양국 모두에 실익이 없을 것이므로 미래지향적 실용주의에 입각해 갈등을 조기에 봉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글=신승민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