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美 펜스, '대북제재 완화' 호소해 온 문재인 만나 "수십 년간 북한 약속 믿고 제재 해제·경제적 지원했지만 약속은 깨졌다!"고 밝혀

英·佛·獨 정상에 이어 美 부통령도 '선 북핵 폐기, 후 상응조치' 천명

박희석  월간조선 기자 thegood@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사진=뉴시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15일 “북한이 앞으로 더 많은 중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북한이 '북핵 폐기 협상'을 진전시킬 의지가 있다면, 핵·시설 사찰 요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펜스 부통령은 이날,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과거 정부가 했던 실수를 반복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수십 년간 북한의 약속만 믿고 제재를 풀거나 경제적 지원을 해줬지만 이후 그 약속은 다시 깨졌다”고 말했다. 

펜스 부통령은 또 “궁극적으로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이뤄야 하므로 계속 노력하겠다.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앞으로 할 일이 많이 남았다”고 강조했다.

이는 국제사회에 '대북제재 완화'를 호소해 온 문재인 대통령에게 미국 부통령이 '북한의 선(先) 핵 폐기 관련 조치, 미국과 국제사회의 후(後) 상응 조치'란 '대북제재 원칙'을 재차 상기시킨 발언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문재인 대통령은 10월 13~21일, 유럽 순방을 하면서 대북제재 해제를 역설했지만 각국 정상에게 사실상 '거절'당했다. 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등은 모두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가 제재 완화에 앞서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을 고수했다. 



글=박희석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18.11.15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박희석 ‘시시비비’

thegood@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