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 고위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비롯한 대표단이 15일 오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남북 고위급회담 출발 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통일부가 탈북민 출신 기자를 취재에서 배제해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취재 배제는 북한 측 요구 때문이 아니라 통일부 자체적으로 판단했다는 점에서 기자단이 반발하고 있다.
통일부는 그동안 남북 고위급회담 취재와 관련, 회담 장소인 판문점의 공간상 제약 등을 이유로 기자단 중 일부 언론사를 선정, 통일부 기자단 전체를 대표할 '풀 취재단'(공동취재단)을 운영해 취재내용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운영해 왔다.
이에 따라 15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집에서 진행될 예정인 고위급회담에는 탈북민 출신 김명성 <조선일보> 기자가 참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통일부는 이날 고위급회담 대표단 출발 1시간 전인 오전 6시 30분께 "<조선일보>에서 풀 취재 기자를 김 기자에서 다른 기자로 변경하지 않으면 (조선일보를) 풀 취재단에서 배제할 방침"이라고 일방적으로 알려왔다.
백태현 대변인은 "한정된 공간에서 고위급회담이 열리는데, 김 기자가 활발한 활동을 해서 널리 알려졌으니 언론을 제한한다기보다는 그런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한 조치라고 판단해 협조를 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통일부 기자단 측은 "풀 취재단은 기자단이 룰에 따라 대표 취재를 맡긴 것이며, 해당 사에서 누구를 보낼지는 전적으로 해당 사에 권한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자단이 정한 풀 취재단을 통일부에서 일방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통일부가 댄 이유도 납득이 안 된다. 더구나 출발 한 시간 전에 이런 입장을 전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박했다.
이후 김 기자와 기자단 대표 등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오전 7시 15분께 면담을 가지기도 했다. 조 장관은 이 자리에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판단한 것이다. 책임은 제가 지겠다"는 말을 반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결국 김 기자는 풀 취재단에서 배제됐다. 김 기자는 탈북자를 보호해야 할 관계부처가 이렇게 나서는 게 옳으냐고 강력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그동안 남북 고위급회담 취재와 관련, 회담 장소인 판문점의 공간상 제약 등을 이유로 기자단 중 일부 언론사를 선정, 통일부 기자단 전체를 대표할 '풀 취재단'(공동취재단)을 운영해 취재내용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운영해 왔다.
이에 따라 15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집에서 진행될 예정인 고위급회담에는 탈북민 출신 김명성 <조선일보> 기자가 참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통일부는 이날 고위급회담 대표단 출발 1시간 전인 오전 6시 30분께 "<조선일보>에서 풀 취재 기자를 김 기자에서 다른 기자로 변경하지 않으면 (조선일보를) 풀 취재단에서 배제할 방침"이라고 일방적으로 알려왔다.
백태현 대변인은 "한정된 공간에서 고위급회담이 열리는데, 김 기자가 활발한 활동을 해서 널리 알려졌으니 언론을 제한한다기보다는 그런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한 조치라고 판단해 협조를 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통일부 기자단 측은 "풀 취재단은 기자단이 룰에 따라 대표 취재를 맡긴 것이며, 해당 사에서 누구를 보낼지는 전적으로 해당 사에 권한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자단이 정한 풀 취재단을 통일부에서 일방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통일부가 댄 이유도 납득이 안 된다. 더구나 출발 한 시간 전에 이런 입장을 전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박했다.
이후 김 기자와 기자단 대표 등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오전 7시 15분께 면담을 가지기도 했다. 조 장관은 이 자리에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판단한 것이다. 책임은 제가 지겠다"는 말을 반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결국 김 기자는 풀 취재단에서 배제됐다. 김 기자는 탈북자를 보호해야 할 관계부처가 이렇게 나서는 게 옳으냐고 강력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장관은 '앞으로 탈북기자는 북한 지역 취재가 허용되지 않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미리 가정해서 말씀드릴 순 없다"고 말했다.
글=권세진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