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대통령의 집사' 송인배를 정무비서관으로 임명한 이유는?

'드루킹' 특검 수사 대상에 올라 이에 따른 정치적 부담 줄이려는 의도?

조성호  월간조선 기자 chosh760@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2018년 5월 21일 송인배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이 한미정상회담차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는 문재인 대통령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조선DB
26일 단행된 청와대 인사 개편에서 교체된 세 개의 수석 비서관 자리 외에 눈여겨볼 만한 점은 송인배 제1부속비서관을 정무비서관으로 임명한 것이다. 
 
제1부속비서관은 대통령의 '개인 집사' 격으로, 대통령의 사생활을 포함해 가장 내밀한 일을 도맡아 한다는 점에서 요직으로 꼽힌다. 그런 이유로 문재인 대통령의 신임을 받던 송 비서관이 정무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드루킹 사건’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송 비서관은 ‘드루킹’ 김동원(구속 기소)씨가 주도한 ‘경제적공진화모임’으로부터 200만 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드루킹 특별검사팀의 수사 대상에 올라 있다.
 
문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던 송 비서관의 자리를 옮김으로써 청와대가 짊어져야 할 정치적 부담을 다소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고 있다. 다만 정무비서관 자리가 청와대와 국회의 가교(架橋)라는 점에서 야당이 반발하는 인사를 임명할 경우, 대야(對野) 관계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송인배 비서관은 지난해 대선 당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일정담당을 맡아 문 대통령을 가장 가까이에서 도운 인물이다. 1991년 부산대 학생회장 출신인 송 비서관은 1995년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부산시장에 출마했을 때 선거운동에 참여하며 정치와 인연을 맺었다.
 
1998년 노 전 대통령이 서울 종로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후 그의 비서관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그는 2000년 노 전 대통령이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할 당시 사무관을 지냈으며, 2004년 참여정부 때는 대통령 비서실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으로 일했다. 송 비서관은 국회와는 유독 인연이 없었다. 17, 18, 19, 20대 총선과 2009년 재선거까지 문재인 대통령의 고향, 경남 양산에서 다섯 차례나 출마했지만 모두 낙선했다.
 
지난 대선 때는 문재인 캠프에서 일정 총괄팀장을 맡았고, 문 대통령 취임 이후에는 대통령의 일정과 청와대 회의 자료 등을 챙기는 대통령비서실 제1부속비서관실 제1부속비서관에 임명됐다.
 
글=조성호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18.06.26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조성호 ‘시간여행’

chosh760@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