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뉴시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6월 12일로 예정된 소위 ‘트럼프-김정은 회담’과 관련해서 북한의 ‘영구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폐기’(PVID)를 요구하는 서한을 미국 백악관에 보낼 예정이다.
홍준표 대표는 이날, 자유한국당 당사에서 “대한민국 국민은 미국이 북한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함으로써 진정으로 북한의 핵무기 공포에서 해방되길 기대한다”며 “한국당은 미국이 북한 비핵화에 ‘PVID’ 원칙을 견지해 달라고 요구한다”고 밝혔다.
홍준표 대표는 또 “북한의 미래 핵개발 능력과 과거 핵을 제거할 뿐 아니라 핵기술 자료를 폐기하고 핵기술자들을 다른 업무에 종사토록 함으로써 영구히 핵개발 능력을 제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 비핵화 완료시기와 검증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합의문을 채택해 북한이 비핵화 이행과정에서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홍준표 대표는 북한의 비핵화에 따른 ‘보상’에 대해서도 얘기했다. 홍 대표는 “미국이 북한 비핵화 보상 문제에서도 ‘비핵화 완료 후 보상’이라는 기존의 원칙을 고수해 주길 바란다”며 “북한이 비핵화를 완료할 때까지 ‘제재와 압박’을 지속한다는 기존 방침을 견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홍준표 대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이전에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이 선행된다면 ‘제재와 압박’이라는 북한 비핵화를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을 잃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 문제가 협상의제로 거론돼선 안 된다”며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 문제를 북한과 협상의제로 하는 것은 북한의 ‘한반도 공산화 전략’에 따른 것으로 한국당은 이에 결연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홍준표 대표는 ‘한반도 비핵화’가 아닌 ‘북한 비핵화’라고 표현하라는 주문도 했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라는 용어는 북한이 주한미군 철수, 전략자산 전개금지 등의 요구를 하고 비핵화 약속 이행을 거부하는 명분으로 삼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글=박희석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