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 수목별 사진 일부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상수리나무, 물박달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사진=국립공원공단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 식목일을 맞이해 이산화탄소 흡수 효과가 상대적으로 뛰어난 국립공원 자생(自生) 수목 10종을 공개했다.
선정한 10종은 상수리나무, 물박달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들메나무, 갈참나무, 곰솔, 떡갈나무, 가래나무, 굴참나무다.
공단은 “선정한 자생 수목은 탄소흡수 효과가 뛰어나고 생태계 보전, 생물다양성 보호에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공단은 이번 10종을 선정하기 위해 2023년부터 국립공원에 대한 주요 자생식물별 연평균 탄소 흡수량을 조사해 분석했다.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치악산, 북한산, 태안해안, 월악산, 속리산, 계룡산, 주왕산, 덕유산, 가야산, 경주 등 14개 국립공원에서 식물 84종에 대한 탄소 흡수량 평가를 마쳤다.
조사한 자생식물 84종은 연간 평균 탄소 흡수량이 한 그루당 7.37㎏-CO₂였으며 이번에 선정된 10종은 평균 대비 2배 이상 탄소를 흡수했다.
이번 10종은 상수리나무, 물박달나무, 졸참나무, 들메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가래나무, 굴참나무 등 활엽수 8종과 소나무, 곰솔 등 침엽수 2종으로 구성됐다.
이 중에서 연평균 탄소 흡수량이 가장 높은 수목은 상수리나무로 한 그루당 30.12㎏-CO₂이며, 물박달나무가 21.51㎏-CO₂로 뒤를 이었다. 10종 중 상대적으로 탄소 흡수량이 가장 낮은 수목은 굴참나무로 한 그루당 15.36㎏-CO₂였다.
글=이경훈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