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방산‧조선 등이 주력 산업인 경남도가 비상계엄·탄핵정국에도 산업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15일 밝혔다.
경남도는 올해 두산에너빌리티가 참여한 ‘팀코리아’ 체코 원전 수주, 신한울 원전 3·4호기 계약, 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대로템을 중심으로 K-방산 수출액 150억 달러 이상 전망, 한화오션, 미 해군 함정 MRO(유지·보수·정비) 사업 진출 등 주력 산업이 선전했다.
그러나 연말 비상계엄 사태가 불러온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리·환율 상승, 정부 정책 중단 가능성 등 산업계 우려가 커진다. 경남도는 산업분야 안정대책 특별팀을 구성해 기업 피해 최소화에 나설 계획이다.
경제부지사를 중심으로 경남테크노파크, 코트라, 무역협회, 방위산업진흥회 등이 참여한 현장상황총괄팀·금융팀·기업지원팀이 제도개선 건의, 정부 정책 모니터링, 산업별 현장간담회 개최 등 방법으로 분야별 대응책을 세운다.
경남도는 기존 현안 사업, 신규 추진사업에도 차질이 없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소형모듈원전(SMR) 로봇활용 제작지원센터(2024∼2028년), 방산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지원사업(2024∼2026년),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사업(2024∼2026년), 창원국가산단 수소특화단지(2026∼2030년) 지정 추진 등은 이미 내년 국비 확보를 한 상태여서 정상 추진될 것으로 경남도는 전망했다.
SMR 제조부품 시험검사 지원센터(2025∼2028년) 구축, 함정 MRO지원센터(2025∼2029년) 건립, 원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등에는 도정 역량을 집중한다.
글=이경훈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