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 가격 변동 그래프. 사진=네이버 증권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10시 무렵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를 갖고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이에 비트코인 가격은 국내 시장에서만 30% 급락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지만, 국회가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후 150여 분 만에 계엄령을 해제하자 비트코인 가격은 점차 회복되는 모양새다.
4일 국내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오전 9시 전날 대비 0.06% 오른 1억3366만7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0.24% 오른 9만6051달러를 기록했다. 업계 1위 코인 거래소인 업비트는 트래픽 증가로 접속이 한동안 지연되기도 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이후 크게 요동쳤다. 비트코인 시장은 24시간 운영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패닉셀(공포 심리로 매도하는 것)이 시장에 반영된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한국에서만 대규모 코인런(암호화폐+뱅크런)이 벌어지면서 한때 국내에서 거래되는 가격과 해외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이 30% 이상 벌어지기도 했다.
대장주 비트코인이 급락하면서 알트코인은 더 큰 폭으로 급락했다. 이더리움은 35%, 리플은 51%가량 무너졌다. 현재는 장중 가격을 어느 정도 회복한 상태다.
단시간에 발생한 코인런은 2013년 암호화폐 시장이 개장한 이래 처음 겪는 사태다. 2022년 11월 글로벌 거래소 FTX가 파산했을 당시 주요 거래소에서 자산을 대거 인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지만, 한국 내부 상황에 의한 일시적인 대폭락이 나타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치프리미엄이 마이너스인 역김치프리미엄은 이날 오후 10시 58분 -32.4%까지 벌어졌다.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 등 글로벌 거래소보다 국내 거래소에서 가격이 그만큼 더 떨어진 셈이다.
역김치프리미엄은 김치프리미엄의 반대말로, 가상자산의 국내 가격이 해외 가격보다 낮은 경우를 의미한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