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한국연구소와 저랑은 관계 없다는 점을 확실히 했다" 의혹 부인
⊙"강혜경 씨가 스스로 정치 자금에서 돈을 빼내서 가져간 부분에 대해서는 변명의 여지가 없을 것"
⊙검찰, 명 씨도 이번주 중으로 소환해 피의자 신분으로서 첫 조사할 계획
- 국민의힘 김영선 전 의원이 3일 창원지방검찰청에 출석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관계자인 김영선(64) 전 국민의힘 의원이 3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한 12시간에 걸친 검찰 조사를 받았다. 김 의원은 4일에도 검찰에 출석해 이틀 연속 조사를 받는다.
창원지방검찰청은 김 전 의원을 다시 불러 조사를 이어나갈 방침이라고 4일 오전 밝혔다. 이틀에 걸쳐 조사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전 의원 조사가 끝나는 대로 이르면 이번 주 명태균(54)씨가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의 이번 사건 수사는 지난해 12월 선거관리위원회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김 전 의원 회계 책임자였던 강혜경(47)씨를 검찰에 고발하고 김 전 의원과 명 씨 등 5명을 수사 의뢰하면서 시작됐다.
당초 회계영수증 미제출 등 가벼운 사안으로 보고 검찰 수사는 검사가 없고 검찰수사관만 있는 사무국 수사과에서 진행되어 왔지만, 강 씨가 지난 9월부터 언론과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을 제기하며 사건은 급물살을 탔다.
김 전 의원이 2022년 6월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을 받아 당선된 뒤로 명 씨에게 총 25회에 걸쳐 9000여만 원을 건넨 것이 의혹의 핵심이다. 강 씨는 명 씨가 2022년 대선 과정에서 윤 대통령을 위해 여러 차례 여론조사를 해줬고, 그 대가로 김 전 의원의 보궐선거 공천을 받아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보답으로 김 전 의원이 명 씨에게 세비 일부를 나눠줬다는 것이 강 씨 측 주장이다.
공천 개입 의혹이 제기되자 검찰은 사무국 수사과에서 검사가 있는 형사부(4부)로 사건을 옮겼고, 지난 9월 30일에는 명 씨와 김 전 의원, 강 씨의 자택 등 5곳을 압수수색 하며 휴대전화와 태블릿 PC등을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
김 전 의원은 조사를 받고 나온 뒤 취재진으로부터 ‘어떤 조사를 받았는지’ 묻는 질문에 “전반적으로 미래한국연구소랑 저랑 관계없다는 것에 대해 얘기했다”고 밝혔다. 이어 “(전 회계책임자인) 강혜경씨가 스스로 정치 자금에서 돈을 빼내서 가져간 부분에 관해서는 강 씨가 변명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고 말하며 대가성 공천 의혹을 부인했다. 민주당이 공개한 명 씨가 윤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통화했다는 내용의 추가 녹취와 관련해서는 “들은 적 없다”고 답했다.
한편 김 전 의원은 15대부터 18대까지 내리 4선을 하고, 2022년 6월 보궐선거에서 5선에 성공했다. 2006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대선 출마를 위해 한나라당 대표직을 사퇴했을 땐 최고위원으로 자격을 이어받아 24일 동안 당 대표직도 맡았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