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기자수첩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파병은 '남침 준비의 마지막 단계'라는 경각심 가져야

실전 경험 가진 군대는 치명적 위협....6.25 당시 남침 선봉에 선 것은 국공내전 참전한 중국 조선족 6만여명

배진영  월간조선 기자 ironheel@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지난 3월 서부전선의 북한군 기지를 시찰하는 김정은. 사진=연합뉴스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쟁 실전 투입 보도는 섬뜩하다. 대한민국을 파괴해야 할 '적대적 국가'로 규정한 김정은이 전쟁 준비의 마지막 방점을 찍는 게 이번 파병이라는 생각이 들어서다.

북한의 핵무기나 ICBM, 중거리탄도미사일 등은 한국이나 미국에 대한 협박용, 혹은 유사시 미군의 한반도 파병을 견제하는 역할은 할 수 있겠지만, 실전에서의 의미는 크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 피비린내 나는 전쟁의 아수라장을 체험해 본 병사들의 경우는 다르다. 부하들이 죽어나가는 전쟁터를 경험해 본 지휘관, 직접 사람을 죽여 본 병사들은, 그런 경험이 없는 지휘관이나 병사들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우크라이나 파병 경험이 있는 북한군은 전쟁이 나면 거침없이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전력(戰力)이다. 6.25 당시 남침의 선봉에 선 것도 국공내전으로 단련된 6만 3000명의 조선족 장병들이었다. 이들은 북한군 21개 보병연대 중 47%인 10개 연대에 달했다.

과거 1990년대까지 북한에 대한 가장 큰 억지력 중 하나는 한국군은 월남전 참전 경험이 있다는 것이었다. 1990년대 중반까지도 군에서는 월남전 참전자들을 별도자원으로 관리했다고 한다. 비록 나이는 50,60대에 접어들었더라도 유사시에는 큰 쓸모가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우크라이나에 파병된 북한군은 1만 2000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서너달에 한번씩 3000명 정도만 새 병력으로 교체한다고 해도,실전 체험을 한 병력들은 몇 만 명 단위로 늘어날 수 있다.
거기에 더해 북한군은 자기들이 러시아군에 제공한 미사일이나 야포 등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무엇을 고쳐나가야 하는지, 드론전쟁은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우리 국방부는 북한이 미사일을 쏘건, 핵실험을 하건 그 의미를 폄하하는 데 급급해 하는 병폐가 있다. 이번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파병과 관련해서도, 북한군이 탈영하고 있다는 둥, 북한군 미사일과 포탄이 제대로 터지지 않는다는 둥 하는 소식들을 전하고 있다. 병사들이 탈영하면 탈영을 막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고, 미사일이나 포탄이 제대로 안 터지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깨우칠 수 있다. 장병들이 실전 경험 전혀 안 하고, 미사일이나 야포를 쏘아 보지 않는 것보다는 훨씬 나을 것이다. 그런 경험이 축적되면서 군대는 '싸울 수 있는 군대'가 되어가는 것이다. 반면에 국군은 1973년 월남 철수 이후 실전 경험이 전혀 없다. 고작해야 대간첩작전 정도다.
러시아나 북한이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파병을 사실상 시인하고 있는 데도, 한사코 그 사실을 부정하려 드는 일부 정치인들은 논외로 치자. 하지만 군(軍)도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을 폄하하려 해서는 안 된다. 김정은의 비수가 목밑에까지 들어왔다는 절박감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

입력 : 2024.10.30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배진영 ‘어제 오늘 내일’

ironheel@chosun.com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했습니다. 2000년부터 〈월간조선〉기자로 일하면서 주로 한국현대사나 우리 사회의 이념갈등에 대한 기사를 많이 써 왔습니다. 지난 70여 년 동안 대한민국이 이룩한 성취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면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내용을 어떻게 채워나가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2012년 조국과 자유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45권의 책을 소개하는 〈책으로 세상읽기〉를 펴냈습니다. 공저한 책으로 〈억지와 위선〉 〈이승만깨기; 이승만에 씌워진 7가지 누명〉 〈시간을 달리는 남자〉lt;박정희 바로보기gt; 등이 있습니다.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