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음주 운전 혐의로 기소된 60대 남성에게 법원이 구체적 증거 부족 등을 이유로 무죄를 선고했다.
지난 3일 대구지법 형사6단독 문채영 판사는 도로교통법 위반(음주 운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60)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밝혔다.
앞서 A씨는 지난해 9월 16일 오후 11시 28분쯤 운전면허 취소 수준(0.08% 이상)에 해당하는 혈중알코올농도 0.128% 상태로 대구 수성구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중구까지 약 2.4km를 운전한 혐의로 기소됐다.
당시 A씨는 주차 후 약 39초간 차 안에서 머물다가 밖으로 나왔으며, 약 40분 뒤인 17일 오전 0시 11분쯤 경찰이 음주 측정을 한 결과 혈중알코올농도가 0.128%로 측정됐다. 목격자 B씨는 “A씨가 차를 주차하는 모습이 정상적이지 않았다”며 “차에서 내리자마자 비틀거리고 이상 행동을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A씨는 “주차 후 차 안에서 약 39초 동안 있으며 알코올 도수가 25도인 소주(375ml) 1병을 전부 마셨다”고 진술하며 음주 후 운전한 것이 아닌, 주차를 마친 상태에서 음주한 것이라고 혐의를 부인했다.
이에 재판부는 경찰의 음주 측정 수치에서 피고인이 주장하는 ‘후행 음주’로 인한 혈중알코올농도 증가분을 빼는 방식으로 이 사건 운전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정하려 했지만, A씨가 도로교통법상 음주 운전 처벌 기준인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인 상태에서 실제로 차를 몰았다고 판단할 만한 근거는 얻지 못했다.
재판부는 후행 음주로 인한 A씨 혈중알코올농도 증가분을 산출하기 위해 기존 판례에 따라 피고인에게 가장 유리한 알코올 체내 흡수율과 성인 남성의 위드마크 상수 등을 적용했다.
또한 재판부는 수사 당국이 이번 사건 조사 과정에서 A씨 음주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본 전제인 음주 장소와 술 종류, 섭취량, 음주 후 경과시간 등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재판부는 “피고인 주장대로 소주 1병을 모두 마셨다고 해도 마시자마자 곧바로 술에 취한 행동을 한다는 건 쉽게 납득가지 않는다”면서도 “그러나 정황증거들 내지 추측만으로 피고인이 음주 운전을 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무죄 선고 이유를 설명했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