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DB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5%로 하향했다.
25일 OECD가 낸 ‘중간 경제 전망 보고서’를 보면, 한국 경제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2.5%로 추산됐다. 이는 지난 5월 경제전망과 7월 한국경제보고서에서 제시한 수치보다 0.1%p 낮아진 것이다.
앞서 OECD는 지난 1분기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1.3%로 상승하자, 5월 경제전망에서 종전보다 0.4%p 높아진 2.6%p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은 2분기엔 -0.2%로 역성장을 보였고, 이를 의식한 것인지 OECD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1%p 소폭 하향 조정했다.
이번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정부가 제시한 2.6%보다는 낮고, 한국은행(2.4%)보다는 높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개발은행(ADB) 등과는 같다.
OECD는 한국의 경제 성장에 대해 “글로벌 반도체 수요의 지속적 강세에 힘입은 수출 호조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지정학 리스크, 금융시장 변동성, 노동시장 둔화는 위험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투자 위축 및 수입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완화 과정에서 예상 밖의 과도한 금융시장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OECD가 예상한 내년 성장률은 종전과 같은 2.2%로 유지됐다.
올해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2.4%로 전망했다. 7월 한국경제 보고서 때보다 0.1%p 하향된 수치다. 내년 물가 상승률은 2.0%로 유지했으며,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종전보다 0.1%p 오른 3.2%로 전망됐다.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5.4%로 0.5%p 낮췄다. OECD는 물가 상승세의 둔화와 이에 따른 가계 지출 증가로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