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인민군에 전남 신안군 주민 104명 희생" 진실규명 결정

전남 지역 기독교인 희생자 38명도 진실규명

김세윤  월간조선 기자 gasout@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김광동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1월 진화위 전체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전남 신안군에 거주하던 주민 100여명이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사건이 74년 만에 진실규명(피해자 인정) 결정됐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화위)는 지난 24일 열린 제87차 위원회에서 '전남 신안군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자은면을 중심으로'에 대해 진실규명으로 결정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전쟁 발발 후인 1950년 9월부터 10월까지 전남 신안군 자은면에 거주하던 주민 104명이 경찰·공무원·우익인사와 그 가족, 경제적으로 부유하다는 이유 등으로 남진 앞바다, 백산리 와우마을 일대에서 적대세력에 희생된 사건이다.


진화위는 진실규명 신청된 사건 80명에 대한 제적등본, 족보, 학적부, 1기 진실화해위원회 기록, 판결문 등 관련 자료조사와 신청인 및 참고인 진술조사 등을 실시했다.


진실규명 신청된 80명 외에도 진화위 직권조사 결과 24명의 희생사실이 추가로 파악돼 총 104명의 신원과 희생사실을 확인했다.


진화위에 따르면 1950년 7월 24일 인민군이 목포를 점령했고 이후 자은면의 경찰은 부산으로 피난갔다. 자은면의 좌익들은 인민위원회를 구성하고, 여성동맹 등의 단체를 조직해서 활동했다.


자은면에도 인민군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나 관련 기록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해 9월 중순 이후 좌익들은 마을 주민들을 창고에 구금한 뒤 남진 앞바다로 끌고 가 수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진화위는 국가에 북한 정권의 사과 촉구, 희생자와 유가족에 대한 공식 사과, 피해회복과 추모사업 지원 등 후속 조치, 가족관계등록부 등 공적기록 정정, 평화·인권 교육 강화 등을 권고했다.


이날 진화위는 ‘6·25 전쟁 전후 적대세력에 의한 종교인 희생사건’ 중 전남 여수‧구례‧순천‧무안‧함평‧곡성‧진도‧고흥 8개 지역 18개 교회의 기독교인 38명에 대해서도 피해를 인정하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인민군 점령기인 1950년 7월부터 12월까지 5개월여 동안 인민군·빨치산 등 적대세력에게 기독교인이나 이들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희생됐다. 피해자 중 4명은 19세 미만 미성년자로 확인됐다.


진화위는 국가에 북한 정권의 사과 촉구 등을 권고했다.


글=김세윤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4.09.25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김세윤의 숨은진실찾기

gasout@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