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그냥 시간 보냈다” 취업 포기하고 3년 넘게 ‘백수’로 지낸 청년 8만 명

통계청 조사 결과…3년간 취업 안 한 청년은 23만 8000명

사진=조선DB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중, 아무런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저 집에서 생활을 이어간 쉬었음청년이 8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 인구 청년층(15~29) 부가 조사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고 백수’인 청년이 지난 5월 기준 23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근 3(2022~2024) 중 가장 큰 수치다.

 

심지어 이들 중 82000(34.2%)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답했다. 3년 이상 장기 미취업자 청년 3명 중 1명이 아무런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시간을 보냈다는 것이다. 그 뒤를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28.9%) 육아가사를 했다(14.8%) 진학 준비를 했다(4.6%) 등이 이었다.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쉬었음기간이 길어질수록 취업을 포기하는 비율이 높아진다는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취업 준비를 했다는 대답은 6개월~1년 미만일 때 54.9%로 약 절반가량의 긍정 응답률을 보였지만, 1~2년 미만 50.8%, 3년 미만 45.1%, 3년 이상 34.2%로 점차 가파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를 졸업한 후 3년이 지나도록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에서 쉬었음청년의 비율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2018(54000) 2019(64000) 이었던 쉬었음청년은 코로나19 이후 2021(96000) 2022(84000) 2023(8만 명) 2024(82000)으로 늘어났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다만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 취업 지원에만 초점이 맞춰진 정책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4.09.19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고기정의 特別靑春

yamkoki@chosun.com 안녕하세요. 월간조선 고기정 기자입니다. 젊은 시각으로 바르게 쓰겠습니다.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