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DB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중, 아무런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저 집에서 생활을 이어간 ‘쉬었음’ 청년이 8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 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 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고 ‘백수’인 청년이 지난 5월 기준 23만 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근 3년(2022~2024년) 중 가장 큰 수치다.
심지어 이들 중 8만 2000명(34.2%)은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답했다. 3년 이상 장기 미취업자 청년 3명 중 1명이 아무런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시간을 보냈다는 것이다. 그 뒤를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28.9%) ▲육아‧가사를 했다(14.8%) ▲진학 준비를 했다(4.6%) 등이 이었다.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쉬었음’ 기간이 길어질수록 취업을 포기하는 비율이 높아진다는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취업 준비를 했다’는 대답은 6개월~1년 미만일 때 54.9%로 약 절반가량의 긍정 응답률을 보였지만, 1년~2년 미만 50.8%, 3년 미만 45.1%, 3년 이상 34.2%로 점차 가파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를 졸업한 후 3년이 지나도록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에서 ‘쉬었음’ 청년의 비율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2018년(5만 4000명) ▲2019년(6만 4000명) 이었던 ‘쉬었음’ 청년은 코로나19 이후 ▲2021년(9만 6000명) ▲2022년(8만 4000명) ▲2023년(8만 명) ▲2024년(8만 2000명)으로 늘어났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다만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 취업 지원에만 초점이 맞춰진 정책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