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슬슬 결혼해야지?” “취업은 했니?”…이런 질문 ‘딱 질색’입니다

PMI ‘추석 연휴에 대한 감정’ 설문조사

2024년 9월 12일, 추석 연휴를 이틀 앞두고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청 어린이집에서 원생들이 한복을 입고 큰절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사진=조선DB

추석 연휴 가운데 둘째 날인 15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시민들이 한국의 명절 문화 중 개선돼야 하는 것으로 친척들의 지나친 간섭개인적인 질문’, ‘과도한 차례상 준비를 꼽은 것.

 

15일 데이터 컨설팅 기업 PMI는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전국 만 20~6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추석 연휴에 대한 감정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중 24.6%가 개선되어야 할 명절 문화로 친척들의 지나친 간섭과 개인적인 질문을 꼽았다. ‘과도한 차례상 준비도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친척들의 지나친 간섭과 개인적인 질문의 경우 가장 예민한 결혼취업문제로 예시를 들어보자면, 오랜만에 만난 친척이 결혼은 언제 할 거냐” “취업은 어디로 했냐” “왜 취업을 못 하는 거냐” “아이는 언제 가질 예정이냐등의 참견을 하는 것이다. ‘과도한 차례상 준비는 차례상에 지나치게 많은 음식을 올린다던가, 형편에 맞지 않는 금액의 음식을 구매하는 것이 해당한다.

 

2위는 불공평한 가사 노동 분배(13.4%)가 차지했으며, 그 뒤를 형식적인 명절 용돈(11.6%) 지나친 명절 선물(10.8%) 형식적인 단체 명절 문자(10.8%) 등이 이었다.

 

추석 연휴가 기다려지는가질문에는 27.8%기다려지지 않고 부담된다고 답했다. ‘기다려진다는 응답은 26.8%, ‘보통이라는 응답은 45.4%였다.

 

추석 연휴가 부담되는 이유는 명절 후유증(49.3%) 음식 준비, 집안일 등 명절 준비(41.0%) 친척들의 결혼이나 취업 같은 개인적인 질문(26.2%) 고속도로 정체와 교통 혼잡에 대한 스트레스(26.0%) 순이었다.

 

추석 연휴가 기다려지는 이유로는 휴식을 취할 수 있어서(53.1%)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48.2%) 고향 방문 가능(24.9%) 명절 음식을 먹을 수 있어서(20.8%)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온라인 패널 조사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79% 포인트다.

 

=고기정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4.09.15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고기정의 特別靑春

yamkoki@chosun.com 안녕하세요. 월간조선 고기정 기자입니다. 젊은 시각으로 바르게 쓰겠습니다.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