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뉴시스
7000만원대까지 밀려난 비트코인이 올해 연말까지 신고가를 경신할 것이란 월가 예측이 나왔다.
지난 12일(현지 시각) 스탠다드차타드(SC)는 “비트코인이 오는 11월 미국 대선 결과와 상관없이 연말까지 신고가를 경신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당선 시나리오에 따라 예상 가격은 달랐다. 친(親) 가상자산 행보를 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1억6000만원 돌파도 가능하다는 관측이다.
제프 켄드릭 SC 가상자산 연구책임자는 “만약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면 비트코인이 12만5000달러(1억6627만원)까지, 카멀라 해리스가 당선되면 7만5000달러(9966만원)까지 오를 것”이라고 했다. 현재 달러 기준 비트코인 신고가는 지난 3월 기록한 7만3000달러다.
미국 대선과 무관하게 비트코인에 대해 낙관적인 이유는 거시경제(매크로) 영향이 크다. 이달 시장 예상대로 금리 인하가 단행되면 국채 시장 힘이 빠지면서 유동성이 커질 수 있다.
켄드릭 연구책임자는 “올해 미국 대선이 비트코인에 미치는 영향은 조 바이든 당선 때보다 덜할 것”이라며 “미 국채 시장 환경이 비트코인에 긍정적 동력(모멘텀)을 만들고 있고, 오는 10월에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도 자금이 대거 유입될 예정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월아서 헤이즈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도 비트코인 신고가에 동의했다. 그는 지난 4일 뉴시스 인터뷰에서 “가상자산 시장은 유동성이 늘어나면 긍정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다. 미국 대선 시기에 유동성이 늘면서 비트코인은 올해 말 10만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트럼프 당선만이 비트코인을 반등시킬 것이란 예상도 있다. 가상자산에 관심을 드러내지 않은 해리스가 당선되면 추가 하락할 것이란 지적이다.
월가 투자은행 번스타인은 지난 9일(현지 시각) 보고서를 통해 “해리스 연설에서 가상자산은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해리스가 당선되면 비트코인은 5만달러(6645만원) 아래로 떨어져 3만~4만달러대를 시험할 수 있다”고 했다.
글=이경훈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