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선 브로커도 입건해 수사
- 한 여성이 자신의 유튜브에 36주차 된 아이를 낙태했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사진=B씨 유튜브 갈무리
최근 소셜미디어(SNS)와 유튜브에서 논란이 됐던 ‘36주 낙태’ 사건과 관련된 수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수술을 집도한 의사가 따로 있었던 것이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12일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는 ‘36주 태아 낙태’ 사건과 관련해 수술을 집도한 의사가 따로 있었던 것을 확인해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그간 원장 의사가 (수술을) 집도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수사를 진행하고 압수물과 의료진 진술을 분석한 결과 실제 집도의가 별도로 있어 특정하고, 지난달 하순께 살인 혐의로 입건했다”고 말했다.
집도의가 뒤늦게 파악된 이유에 대해서는 “최초에 관계자들이 거짓으로 진술을 했다”며 “각 의료진에 대해서는 전원 조사를 했으나 진술이 일관되지 않고 상호 엇갈리는 내용이 확인돼 진술을 분석한 뒤에 추가 조사를 이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술을 집도한 A 의사는 산부인과 전문의이며, 다른 병원 소속의 의사인 것으로 드러났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수술 사실을 인정했고, 출국이 금지된 상태다.
현재까지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은 병원장, 보조 의료진 3명, 이 병원 직원이 아닌 집도의 A씨와 마취의 등 총 6명으로 확인됐다. 병원장과 집도의는 살인, 다른 의료진 4명은 살인 방조 혐의를 받고 있으며, 병원장에게는 병원 내부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의료법 위반 혐의도 적용됐다.
낙태를 한 유튜버 B씨는 지인을 통해 산부인과 정보를 알게 된 것으로 전해지며, 살인 혐의를 받고 있다. 병원을 알선한 브로커 1명은 의료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수사 중이다. 경찰이 파악한 수술 날짜는 지난 6월 25일이며, 화장 일자는 수사 의뢰 다음 날인 지난 13일이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