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 주재 중국 총영사도 '추방' VS '귀임' 입장 차
◉ 매슈 밀러 국무부 대변인 뉴욕 주재 중국 총영사 추방에 반박, "임기 마치고 돌아간 것"
- 호컬 주지사의 보좌관이었던 린다 쑨(40)의 모습, 중국 정부의 스파이로 활동한 혐의로 검찰에 기소됐다. 사진=뉴시스
캐시 호컬 미국 뉴욕주 주지사의 보좌관인 린다 쑨(비서실 차장급)이 중국 정부의 대리인으로 활동한 혐의로 뉴욕 주재 중국 총영사 또한 직위에서 추방됐다고 언급했다. 나중에 미 국무부는 "추방 조치는 없었다"라고 반박했다고 CNN이 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매슈 밀러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총영사가 정기적으로 예정된 순환근무를 마치고 8월 말에 귀임했다"라고 말했다. 호컬 주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의 요청에 따라 황핑 뉴욕 주재 중국 총영사의 외교관 지위에 대해 국무부 고위 관리와 전화통화를 한 사실을 밝혔다. 호컬 주지사가 통화한 국무부 고위 인사는 커트 캠벨 부장관이라고 밀러 대변인이 확인했다.
호컬 주지사는 전화통화 중에 "뉴욕 공관에 있는 중국 총영사를 추방해 달라는 의사를 전달했고, 총영사가 더 이상 뉴욕 공관에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라고 말했다. 호컬 주지사는 총영사가 추방된 것인지 명확히 밝히라는 질문에 "더 이상 (총영사) 자리에 있지 않다는 걸로 알고 있다. 그게 내가 아는 전부다"라고 답했다.
다만 밀러 국무부 대변인은 "추방 조치는 없었다"라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중국 총영사의 귀국을 둘러싼 주 정부와 연방 정부의 이 같은 혼선을 놓고 미국 정부가 외교관 추방이라는 강경 조치의 파장을 의식해 미중 갈등이 새로운 국면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수습에 나선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호컬 주지사는 린다 쑨 전 뉴욕주지사 보좌관이 중국 정부의 대리인으로 활동한 혐의에 총영사가 개입했는지에 관한 질문에 "중국 정부가 이런 일을 저지르고 린다 쑨과 협력하는 행동은 용납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우리가 이를 용납하지 않겠는다는 성명을 냈듯이, 그(중국) 정부를 대표하는 사람은 누구든 떠나야 한다. 우리는 이를 분명히 했다"라고 말했다.
글=백재호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