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한 차례 미뤄진 한동훈-이재명 여야 대표회담은 언제

민주 "특검법 논의해야" 국힘 "토론 아닌 공개 대화의 장" 신경전 계속되는 중

권세진  월간조선 기자 sjkwon@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조선DB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여야 대표회담이 애초 25일에서 이 대표의 코로나19 확진으로 연기된 가운데 언제 다시 성사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대표회담 의제를 놓고 대립각을 형성하고 있다. 의제를 논의하기로 한 실무회의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민주당은 한 대표를 향해 채상병 특검법 논의를 압박하고 있다.  이번주 초 대표회담을 위한 실무협의가 재개될 경우 채상병 특검법 논의 여부가 중대 조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당내 대다수가 채상병 특검법에 반대하거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입장이며, 한 대표 등은 제3자추천 특검법, 이른바 한동훈표 특검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공수처 수사 결과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민주당이 특검법으로 압박하는 것은 여권 내부 분열을 유도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따라서 대표회담 일정이 쉽게 잡히지 않으리라는 예상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민주당에서는 박찬대 원내대표와 강유정 원내대변인 등이 26일까지 한동훈표 특검법을 제시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시한인 26일이 지나면 민주당이 기존 특검법을 다시 추진하거나 계속 압박에 나서는 등 여야 양측의 대립은 더 길어질 수도 있다.  


한 대표 입장에서는 민주당과 한동훈표 특검법을 논의하는 것 만으로도 당내 반발에 직면할 수 있다. 그렇다고 민주당의 압박을 무시한다면 대표회담을 진행하기가 어렵고, 대표회담이 무산될 경우 여론의 비판이 예상된다. 

 

국민의힘은 회담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공개 회담'을 제안하고 이번 만남은 토론이 아니라 국민 앞 대화의 장이 돼야 한다며 민주당에 맞서고 있다. 

 

 

 

글=권세진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4.08.26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권세진 ‘별별이슈’

sjkwon@chosun.com 월간조선 정치팀장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