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상명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과 위원들이 7일 오후 경기 정부과천청사 법무부에서 열린 검찰총장추천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검찰총장 후보가 4명으로 압축됐다. 윤석열 정부의 두 번째 검찰총장이 될 후보다.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추천위)는 7일 오후 2시께부터 2시간30분가량 회의를 진행한 끝에 제46대 검찰총장 최종 후보를 선정하고 법무부 장관에게 추천했다고 밝혔다.
후보는 심우정(53·사법연수원 26기) 법무부 차관과 임관혁(58·26기) 서울고검장, 신자용(52·28기) 대검찰청 차장검사, 이진동(56·28기) 대구고검장 등 4명이다.
심우정 차관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 36회에 합격해 지난 2000년 서울중앙지검 검사로 임관했다. 대검 범죄정보2담당관과 법무부 검찰국 형사기획과장·검찰과장,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 대구지검 서부지청 차장검사, 대검 과학수사기획관 등을 지낸 대표적인 기획통으로 꼽힌다.
임관혁 고검장은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했고 검찰 내에서 특수통으로 불린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장과 특수1부장을 연달아 거치며 정윤회 게이트, 'STX 정관계 로비, 성완종 리스트 등 굵직한 사건을 수사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검찰총장이던 당시 세월호참사특별수사단장을 맡았다.
신자용 차장검사는 기획과 특수 분야 요직을 두루 거쳤다. 한양대 법대를 졸업했고 대검 정책기획과장과 법무부 검찰과장·검찰국장 등을 거쳤다. 양승태 사법부 법관 사찰 및 재판 거래 의혹 사건과 세월호 참사 보고 시간 조작 사건 등을 맡았다.
이진동 고검장은 연세대 생화학과를 졸업했고 서울중앙지검 검사와 대검 중앙수사부 직무대리, 수원지검 2차장검사, 대전지검장, 서울서부지검장 등을 역임했다. 지난 2011년 대검 중앙수사부에서 당시 부산 저축은행 사건 주임 검사였던 윤 대통령과 함께 일한 바 있다.
4명 중 박성재 법무부 장관이 1명을 결정해 대통령에게 제청하면 해당 후보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검찰총장으로 임명되게 된다. 빠르면 이번주 내 검찰총장 지명 절차가 마무리될 가능성도 있다.
글=권세진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