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화보] 1880년대 미지의 조선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김태완  월간조선 기자 kimchi@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서울 종로 2가 엿 파는 아이(1911년 이전),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 이하 모든 사진=서울역사박물관.

1880년대 서울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전경이나 숭례문과 성벽 바깥의 민가의 사진도 있다. 종로 2가에서 엿 파는 아이, 말발굽 모양의 초가집 사진이 오랜 여운을 준다.

 

또 6.25 전쟁 당시 폐허가 된 을지로와 명동 입대의 사진이 가슴을 먹먹하게 만든다.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최병구)은 1880년대부터 80여 년 간 격동의 서울 모습을 다양한 시선으로 조명한 사진을 발굴해 최근 펴낸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 서울 사진: 네 개의 시선》에 공개했다. 

 

noname01.jpg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 서울 사진: 네 개의 시선》

 

이번 사진 발굴은 2020년부터 진행된 미국 소재 서울학 자료 조사의 3번째 결과물로, 2023년에는 필라델피아 소재 장로회 역사협회(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와 워싱턴 D.C. 소재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을 조사한 후 그중 의회도서관 판화 사진 분과(Prints & Photographs Division)의 사진 163점을 엄선해 책에 담은 것이다.


사진 자료들은 조선 말기부터 1960년대까지 4개의 컬렉션이다. 미국 외교관, 여행 저널리스트, 조선총독부, 미국 언론사라는 각기 다른 ‘네 개의 시선’으로 본 서울의 모습을 조명하였다.

 

사진 2.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전경(1884-1885), 조지 C, 포크 컬렉션.jpg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전경(1884-1885), 조지 C, 포크 컬렉션 

 

사진 3. 숭례문과 성벽 바깥의 민가(1884-1885), 조지 C, 포크 컬렉션.jpg

 숭례문과 성벽 바깥의 민가(1884-1885), 조지 C, 포크 컬렉션

 

사진 4-6. 경희궁에서 바라본 서울 전경 파노라마(1884-1885), 조지 C. 포크 컬렉션.jpg

 경희궁에서 바라본 서울 전경 파노라마(1884-1885), 조지 C. 포크 컬렉션

 

사진 7. 북한산 연융대(1885.5.31.), 조지 C, 포크 컬렉션.jpg

북한산 연융대(1885.5.31.), 조지 C. 포크 컬렉션

 

‘조지 C. 포크 컬렉션’은 통역사로 조선에서 온 보빙사 일행을 수행하고 이를 계기로 조선의 미국공사관에 외교 무관으로 파견된 미국의 해군 장교 포크(George Clayton Foulk, 1856~1893)가 촬영한 사진들이다. 1884년 부임해 1년간 조선에 머무른 포크는 고종의 근대화 사업의 자문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의 시선으로 본 조선 말기 서울의 모습을 마주할 수 있다. 

 

 

사진 8. 순종의 부름을 받은 카펜터(1909),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jpg

 순종의 부름을 받은 카펜터(1909),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

 

사진 10. 초가집(1911년 이전),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jpg

 초가집(1911년 이전),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

 

사진 11. 창덕궁 인정전(1908-1909),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jpg

창덕궁 인정전(1908-1909),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 

 

사진 12. 남대문로 일대 조선은행 광장 전경(1920년 이후),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jpg

남대문로 일대 조선은행 광장 전경(1920년 이후),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

 

‘프랭크 G. 카펜터 컬렉션’은 세계 곳곳을 여행한 미국의 여행 작가 카펜터(Frank George Carpenter, 1855~1924)의 사진들이다. 1888년 고종을 인터뷰한 저널리스트이기도 한 그는 조선의 근대화된 모습을 일본과 미국 문명의 수혜의 결과로 보기도 하였다.

 

 

사진 13. 돈화문로 일대 시가(1931.9.25..),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돈화문로 일대 시가(1931.9.25..),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사진 14. 종로 5가 일대 전경(1921년 이후),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종로 5가 일대 전경(1921년 이후),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사진 15. 종로 3가에서 바라본 남산 일대 시가지 전경(일제강점기),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종로 3가에서 바라본 남산 일대 시가지 전경(일제강점기),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사진 16. 공평동 금옥당 사진관(1920년 이후),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공평동 금옥당 사진관(1920년 이후),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사진 17. 골동점(일제강점기),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골동점(일제강점기),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사진 18. 중국인 거리의 중화기독교회(1920년대),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중국인 거리의 중화기독교회(1920년대),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사진 19. 노량진 무녀촌(1932.4.28.),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노량진 무녀촌(1932.4.28.),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사진 20.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신촌리 마을(1933년 이전),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신촌리 마을(1933년 이전),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사진 21. 광희문 밖 '빈민굴(일제강점기),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광희문 밖 '빈민굴(일제강점기),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사진 22. 한강에서의 면화 반입(일제강점기),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jpg

 한강에서의 면화 반입(일제강점기),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

 

‘무라카미 텐코 컬렉션’은 의회도서관에서 아직 등록하지 않은 미공개 사진들이다. 해방 직후 미국이 일본에서 입수한 조선총독부 문건들 중의 일부이다. 조선총독부의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생활상태나 학술조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23. 신탁 통치 반대 집회(1946.1.19. 사진설명), 뉴욕 월드 텔레그램&선 컬렉션.jpg

신탁 통치 반대 집회(1946.1.19. 사진설명), 뉴욕 월드 텔레그램&선 컬렉션

 

사진 24. 위에서 내려다 본 안국동 일대(1950.6.26.), 뉴욕 월드 텔레그램&선 컬렉션.jpg

위에서 내려다 본 안국동 일대(1950.6.26.), 뉴욕 월드 텔레그램&선 컬렉션

 

사진 25. 인천상륙작전 후 서울을 통과하는 미군(1950.9.), 뉴욕 월드 텔레그램&선 컬렉션.jpg

인천상륙작전 후 서울을 통과하는 미군(1950.9.), 뉴욕 월드 텔레그램&선 컬렉션


사진 26. 폐허가 된 을지로, 명동 일대(1952.6.22.), 뉴욕 월드 텔레그램&선 컬렉션.jpg

폐허가 된 을지로, 명동 일대(1952.6.22.), 뉴욕 월드 텔레그램&선 컬렉션

 

 ‘뉴욕 월드 텔레그램&선 컬렉션’은 뉴욕에서 발행한 일간지 《뉴욕 월드 저널 트리뷴(New York World Journal Tribune)》가 보관하던 미공개 사진들이다.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을 거쳐 국가를 재건하는 1960년대 초반까지의 모습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측은 "사진에서 보여주는 이미지와 뒷면 기록 사이의 간극을 통해 전쟁에서의 미군의 역할을 강조하려는 시선을 엿볼 수 있다"고 밝혔다.

입력 : 2024.02.12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김태완 ‘Stand Up Daddy’

kimchi@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