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전시] 2024 건축가 드로잉전 ‘思惟 사유’

토포하우스에서 1월 24일(수)부터 2월 8일(목)까지

하주희  월간조선 기자 everhope@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2024 건축가 드로잉전 포스터.jpg

 

건축가들의 예술적 드로잉 작업을 선보이는 전시가 토포하우스에서 열린다.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는 대한민국 대표 건축가 25명이 건축 작업이 아닌 조형적 작업으로서의 드로잉을 선보인다. 설계 드로잉이나 작업 결과물을 보여주는 전시는 많지만 건축가들의 예술적 드로잉을 모은 전시를 보는 것은 흔치 않은 기회다.

전시 장소인 토포하우스 자체가 의미 있는 공간이다. 건축가이자 건축이론가인 정진국 한양대교수 명예교수의 작품으로, 건축가가 설계한 공간에서 대표 건축가들이 모여 예술적 감성을 선보이는 자리인 셈이다.

전시에 참가하는 건축가는 다음과 같다. 곽데오도르, 곽희수, 구영민, 김동진, 김석환, 김효영, 문훈, 박기준, 박준호, 방철린, 백문기, 오섬훈, 오호근, 우경국, 이관직, 이은석, 이형재, 임지택, 임진우, 임형남, 전이서, 전인호, 최두남, 최성희, 홍재승, 총 25명이다. 각 건축가별로 2~3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전이서.jpg

전이서 CHUN YSEO, Da Sein, East, 종이 위 목탄, 750*330 (액자사이즈 850*430),2020

 

건축가의 드로잉과 공작물은 화가나 조각가의 그것과 다르다. 건축가가 다루는 것은 기본적으로 공간이다. 그것을 구축하기 위한 드로잉은 건축가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건축가의 드로잉은 발상의 단계를 거쳐 도면화되고, 궁극적으로는 땅 위에 지어진다. 이 과정 속에서 건축가의 사유는 지속적으로 변모하게 되는데, 니체의 시적 아포리즘처럼 시와 같은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논리성과 합리성의 텍토닉한 그림을 그리기도 한다. 주로 시간을 통해 구체화되어 가는데, 후반부의 드로잉은 치수가 명기되는 구체성도 갖는다.

이같은 드로잉 작업은 다른 사람과 소통하거나 공유를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추구하는 건축적 가치관과 철학을 기호화된 형식으로 드러내는 것이며 건축가들의 기본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건축적 드로잉이 아닌 건축가의 예술세계를 보여주는 다양한 조형적 결과물을 다룬다. 여기에도 건축가의 가치관과 철학은 기본적으로 배어 있다. 관람자는 다양하게 표출되는 건축가들의 조형적 작업들을 통해 예술적 작업으로서의 건축에 임하는 건축가의 의식적 흐름에 좀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이번 전시는 건축적 쓰임을 위한 것이 아닌 드로잉과 회화 작업을 보여준다. 전시는 ‘구축으로의 사유’ 와 ‘심상으로의 사유’ 등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건축가의 작품 특징별로 2개의 전시공간에 설치된다.

사유란 개념, 구상, 판단, 추리를 행하는 인간의 이성 작용을 말한다. 건축가의 사유는 개인, 건축물이 들어설 대상지, 쓰일 기능에 따라 그 발현의 스펙트럼이 매우 넓다. 독특한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구축으로서의 사유가 만들어지는 작업들이 ‘구축으로서의 사유’에 해당하며 예술적 사유에 의한 작업물이 ‘심상으로서의 사유’다.  

입력 : 2024.01.16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하주희 ‘블루칩’

everhope@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