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익스프레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존 행정명령을 개정해 은퇴한 조종사를 상대로 최대 1000명까지 복귀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지난 23일(현지 시각) 영국 매체 《익스프레스(Express)》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3차 세계대전의 전운이 감도는 가운데 미 공군이 은퇴한 조종사를 1000명까지 복귀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9·11 테러 명령 개정'에 지난 20일 사인했다"고 보도했다.
미 국방부는 조종사의 심각한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국방부 산하 군사연구소 대변인은 “공군이 최근에 대략 1500명의 조종사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국방장관이 공군장관에게 3년간 은퇴한 조종사를 1000명까지 복귀 조치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대변인은 또 《폭스(Fox)》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조종사 공급 부족은 수년간 정부와 항공 산업 분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국가 차원의 과제”라고 말했다.
![]() |
9·11 테러 명령으로 알려진 행정명령 13223이 개정됐음을 알리는 백악관 홈페이지 공지. 사진=백악관 |
이번 명령 개정안은 세계무역센터 테러 공격 이후 조지 W. 부시 전 미 대통령 때 만든 긴급 선언을 수정한 것이다. 수정하기 전 '긴급 선언'에는 최대 25명까지만 복귀할 수 있도록 돼 있었다.
명령 개정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 인한 불가피한 조치인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비드 골드페인 미 공군참모총장은 “명령 개정이 북한의 핵공격이 3차 세계대전을 촉발할 수 있는 우려 속에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군 최고책임자들과 회동한 뒤 현 상황은 '폭풍 전 고요'라고 말했었다. 또 최근에는 미국이 북한의 군사적 행동에 대응하기 위해 “완전히 준비돼 있다”고도 했다.
북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수위가 점점 높아지는 가운데 명령 개정이 실제 군사행동으로 이어질 지 귀추가 주목된다.
글=김성훈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