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변협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 강력 규탄”

“정부의 적극적 외교 조치 촉구”

김광주  월간조선 기자 kj961009@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2016년 촬영된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외곽 북·중 국경지대 북측 지역. 사진=뉴시스

중국이 지난 9일 탈북자들을 대거 강제 북송한 데 대해 대한변호사협회(협회장 김영훈)가 규탄에 나섰다. 앞서 조선일보는 지난 11중국 당국이 9일 밤 지린성(吉林省)과 랴오닝성(遼寧省)의 감옥에 수감돼 있던 탈북민 약 600명을 전격 북송(北送)했다고 단독 보도했다.

 

이에 통일부는 이틀 뒤인 지난 13일 오전 정례 브리핑을 통해 다수의 북한 주민이 중국 동북 3성 지역에서 북한으로 송환된 것은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중 탈북민, 환자, 범죄자 등 누가 얼마나 포함되었는지는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해외 체류 탈북민이 자유의사에 반하여 강제북송 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라고 분명히 했다.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강제북송은 강제송환 금지라는 국제규범에 반하는 것이라며 중국 측에 이 문제를 엄중하게 제기했다고 밝혔다.

 

그러자 변협은 같은 날 오후 6시에 성명을 내고 중국 정부를 향해 중국 헌법은 물론, 스스로 비준(批准·조약 확정)한 국제조약을 직접적으로 위반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32조엔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국경 내에 있는 외국인의 합법적인 권리와 이익을 보호한다고 돼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정치적 이유로 피난을 요구하는 외국인에게 보호받을 권리를 부여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중국은 유엔 난민협약고문방지협약가입국이다. 여기엔 강제송환금지원칙(non-refoulement)’을 명시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10일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선거에서 인권이사국으로 재선출됐다. 이에 변협은 국제인권법을 준수하여 모범이 되어야 할 인권이사국 선거 바로 전날 밤 비밀리에 반()인권적 강제북송을 감행한 중국의 행위를 규탄한다고 지탄했다.

 

변협은 또 중국 당국에 붙잡힌 탈북민이 북송될 경우 정치범 수용소 등에 갇히거나 심지어 극형에 처해지는 경우도 있다고 우려했다.

 

엘리자베스 살몬(Elizabeth Salmon) 유엔(UN)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지난 7월 유엔 인권이사회 산하 관계자 6명과 함께 중국 정부에 공동 서한을 보냈다. 이에 따르면 탈북민 중 약 2000여명이 불법 이주민으로 분류돼 중국에 구금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변협은 끝으로 우리 정부도 중국 정부가 중국에 구금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을 즉각 석방시키도록 외교적 노력을 다하여야 할 헌법상 법률상의 의무가 있다고 지적했다.

 

20169월 시행된 북한인권법9조 제1항은 국가는 북한인권증진을 위한 인적교류정보교환 등과 관련하여 국제기구국제단체 및 외국 정부 등과 협력하며, 북한인권증진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제고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명시한다.

 

=김광주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3.10.15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김광주의 뒤끝

kj961009@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