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국제PEN망명 북한센터 제공
북한 핵실험장 인근 출신 탈북민들이 핵실험으로 입은 피해를 증언한다.
20일 국제PEN망명 북한센터는 제20회 북한자유주간 행사로 함경북도 길주군 출신 탈북민들의 핵실험 피해 증언회를 센터포인트 광화문에서 개최한다.
이번 증언회는 이신화 북한인권국제대사의 격려사와 길주군 출신 이영란, 김순복, 남경훈, 김정금씨의 발표로 구성된다.
한 탈북민은 "핵실험 뒤 사람들이 다리를 절룩거리고, 두통에 시달리다 죽어갔다"면서 "이 원인 모를 병마에 시달리던 사람들을 주변에서 '귀신병'에 걸린 사람들이라고 부르곤 했다"고 진술했다.
《월간조선》 7월호는 지난 문재인 정부가 은폐한 탈북민 방사선 피폭 검사 결과에 관해 다룬 바 있다('[추적] 文 정부, '탈북민 방사선 피폭 검사' 결과 은폐' https://url.kr/kibfcn). 문 정부는 2017년과 2018년 길주군 출신 탈북민의 방사선 피폭 가능성 점검 검사를 실시했다. 2018년 검사에서 정상 피폭 수치의 수백 배에 달하는 방사선이 검출된 피검사자에 대해 문 정부는 "방사선 치료를 받은 사실만으로도 검출 가능하며, 흡연력만으로도 피폭될 수 있음"이라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본지 취재 결과 이 피검사자는 비흡연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문 정부는 또 이상 수치가 발견된 다른 피검사자에 대해 "과거 방사선 피폭이 있었을 개연성이 있음"이라는 한국원자력의학원의 진료 소견을 공개하지 않았다. 대신, "'탈북민의 검사결과, 핵실험으로 인한 방사선 피폭과 연관성이 크다고 단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이 한국원자력의학원의 결론"이라고 발표했다.
한편, 이번 증언회에 관해 이시영 북한자유주간 총괄간사는 "북한 김정은 정권은 오늘도 민생보다는 핵에 미쳐있다"면서 "배고픈 북한 주민들은 오늘도 핵실험의 위험을 감지할 겨를도 없이 생존을 위해 분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증언회가 김씨 일가의 죄를 고발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글=김세윤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