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이하 NK Net)는 북한인권 활동주간을 성공적으로 열었다. 이번 행사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설립 10주기를 기념해 9월 13일부터 9월 16일부터 나흘간 열렸다.
NK Net는 북한인권 주간을 위해 미국은 물론,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르헨티나 그리고 유럽 주요 국가들과 태국 등지에서 활동 중인 인권 활동가들, 그리고 글로벌 MZ세대를 대표할 청년 활동가 등 총 15명을 초청했다. 세계 각 지역에서 활동 중인 MZ 세대 청년 활동가 5명도 함께했다. NK Net측은 ‘청년 활동가들은 향후 북한의 장마당 세대를 대상으로 향후 북한인권 운동을 펼쳐갈 주역으로, 이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조직하는 것은 NK Net의 핵심 활동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13일 북한인권 영화 상영회에서는 개막작으로 북한의 정치범 관리소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애니메이션 영화 ‘트루 노스 (한국제목: 리멤버 미, 에이지 한 시미즈 감독)’가 상영됐다.
14일에 열린 국제 심포지엄, ‘COI 이후 북한인권 그리고 미래’는 유엔 COI 위원장으로 2013년 북한인권 조사를 지휘했던 마이클 커비 전 호주 대법관이 온라인으로 축사를 했다.
15일엔 국제 MZ 활동가들의 ‘북한인권 국제 청년포럼’이 열렸다. 16일엔 탈북민들과 글로벌 청년 활동가가 함께하는 ‘추석맞이 북한송편 나눔 자원봉사’ 활동과 통일아카데미가 주최하는 “MZ 세대가 그리는 북한인권 체험회" 관람 행사가 열렸다.
NK Net는 최근 5년 어간에 전변하고 있는 국내외 정세와 북한의 상황을 주시하며, 북한인권 운동의 전략을 점검할 필요성을 인지하고 행사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2019년 하노이 정상회담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강화되는 북한당국의 폐쇄 통제 정책과 신냉전이라고 불릴 법한 국제정세 속 북한의 제한적 대외정책 그리고 한국 정부의 일관성 잃은 북한인권 정책 등은, 국내외 북한인권 운동에 노정된 어려움이라는 설명이다
권은경 NK Net 대표는, “COI 설립 10주기를 맞이한 지금이 지난 10년의 북한인권 운동 변화상과 북한인권의 현주소를 점검하기에 적합한 시기로 본다"며 행사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북한의 정치범 ‘관리소’에서 ‘반인도범죄'가 자행된다는 COI 결과보고서가 나온지 10년이 다 되어가지만, 여전히 북한인권은 도외시된다는 문제인식이 여러 행사를 한 주간의 활동으로 구성한 이유라고 권 대표는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