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DB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오는 22일 임시총회에서 기관 명칭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로 변경하는 안건을 처리하는 가운데 삼성도 내부적으로 전경련 복귀 절차에 돌입했다. 삼성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가 지난 18일 임시 회의를 열고 한경협의 삼성 관계사 가입 요청을 ‘사실상 승인’한 데 따른 것이다.
준감위는 이날 “현재 시점에서 전경련의 혁신안은 선언 단계에 있는 것이고 실제로 그것이 실현될 가능성과 확고한 의지가 있는 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확인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한경협이 과연 정경유착의 고리를 완전히 단절하고 환골탈태할 수 있을지에 대해 확신을 가질 수 없는 입장”이라며 “만일 관계사가 한경협 가입을 결정하더라도 정경유착 행위가 있는 경우 즉시 탈퇴할 것 등 필요한 권고를 했다”고 밝혔다.
앞서 전경련은 2016년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해 미르 재단과 K스포츠 재단 설립 모금을 주도했다. 두 재단은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 일가의 자금줄 역할을 했다. 삼성은 2017년 2월 전경련을 탈퇴했다. 삼성과 함께 ‘4대 그룹’에 들어가는 현대자동차, SK와 LG도 모두 전경련을 탈퇴했다. 당시 정경유착의 고리로 지목된 전경련은 해체 위기까지 가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에 4대 그룹 모두 내부적으로 전경련 재가입 논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정농단 사건은 삼성이 준감위를 설립한 계기이기도 했다. 2019년 10월 이재용 회장이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서원씨에게 뇌물을 건넨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을 당시 재판부였던 서울고등법원 형사1부(부장 정준영)는 이례적으로 ‘삼성그룹 내부에 실효적인 준법감시제도’를 주문했다. 이에 삼성은 2020년 2월 준감위를 출범했다. 재계 관계자는 21일 삼성의 전경련 복귀와 관련해 “일단 준법감시위원회에서 18일에 말한 부분이 있고, 그 이후 절차는 이사회 논의를 통해 결정될 것 같다”고 밝혔다.
글=김광주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