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뉴시스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7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새마을금고 예금 대규모 인출 사태'와 관련해서 “정부가 보유한 모든 정책 수단을 활용해 새마을금고 이용 고객의 손실이 결코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불안한 마음에 예금을 조기 인출해 재산상의 불이익을 감수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수백억 원대 대출채권 부실로 위기설이 불거진 새마을금고 일부 지점에서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조짐이 보이자 ‘범정부 대응단’을 구성해 시장 불안 해소에 집중하고 있다. 금융기관이 망해도 예금은 예금주 1인당 5000만원까지 보장된다. 새마을금고 역시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은행과 동일하게 1인당 5000만 원까지 예금이 보장된다. 그럼에도 이를 믿지 않고 불안감을 느끼는 이들을 위해 김주현 위원장은 취임 1주년 행보로 새마을금고 본점에 6000만원을 예금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김주현 위원장은 “불안 심리로 인해 과도하게 자금이 유출되지 않는다면 새마을금고 건전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사회적관계망(SNS)를 통해 '새마을금고가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다'란 허위 사실이 확산돼 시장 불안을 조장하는 것과 관련해서 "최근 일부 유튜브에서 새마을금고는 예금 보호 대상이 아니라는 얘기가 도는데 절대 사실이 아니다"라며 "새마을금고는 은행권과 동일하게 1인당 5000만원까지 예금이 보장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5000만원 초과 예금에 대해서도 새마을금고는 전통적으로 우량 저축은행과의 합병을 통해 모두 보호해왔다"며 “유튜브 말을 믿지 말고 정부의 말을 믿어 달라”고 밝혔다.
김주현 위원장은 '새마을금고 부실 대출'의 충격파가 도미노식으로 금융시장 전체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관련해서 “새마을금고로 돈이 정상적으로 들어가고 불안 심리로 인한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새마을금고 때문에 시장 변화가 생기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주현 위원장은 도 "지금 상황이 IMF,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어려운가?"라고 반문하며 "절대 그렇지 않다. 그 당시에도 새마을금고에서 예금자가 손해 본 것은 없었다"며 "유튜브 말을 믿지 말고 정부의 말을 믿으라"고 했다.
글-박희석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