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DB
한반도 긴장상태가 고조되는 가운데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 시 학생들이 대피할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김석기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공습경보 시 지하대피시설 보유학교 및 인근대피소 지정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총 1만2578개교 중 공습경보 시 지하대피시설을 보유한 학교는 1631개교,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근에 지하대피소를 지정한 학교도 4463개교, 35% 수준에 머물렀다.
![]() |
사진=김석기 의원실 |
전북의 경우 지하대피시설 보유비율 1.6%(964개교 중 15곳), 인근대피소 지정비율 1.2%(12곳) 전국 최하위 수치로 공습경보 시 대피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남과 제주의 경우 민방공 훈련 시 학생들을 운동장 및 학교건물 현관 등에 대피시키는 곳이 각각 88.6%(970개교 중 860곳), 80%(198개교 중 158곳)에 달해 공습경보 시 대피요령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조차 확립이 안 돼 있었다.
또한, 경북의 경우 대피소 미지정 학교 406개교 중 364곳(90%)이 해당학교 인근에 ‘지자체 지정 지하대피소’ 조차 없어 공습경보 시 대피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의 경우 지역별로 지정된 대피시설을 보유하고 있지만 부산교육청에서는 향후 지자체와 협의해 각급학교에 인근 대피시설 현황을 안내할 예정이라 밝혀 인근 대피소 미지정 학교 502곳(78%)에 대피시설 안내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북한의 각종 도발과 군사적 위협이 고조되는 엄중한 시기에, 일선학교 현장에서는 심각한 안보불감증에 빠져 있다”며, “공습경보에 취약한 대부분의 학교들에 교육당국은 시급히 예산을 투입해 지하대피시설을 확보하는 동시에 인근 대피소 지정도 지자체와 적극 협의해야한다”고 말했다.
글=김성훈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