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전 대통령의 반려견 '마루'가 산책 도중 누워 있다(왼쪽). 문 전 대통령이 마루의 유골함을 들고 있다. /문다혜씨 페이스북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45% 대에 근접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1일 나왔다. 뉴시스가 국민리서치그룹·에이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7~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윤 대통령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44.5%를 기록했다. 2주 전(4~6일) 같은 조사(39.5%)보다 5%포인트 상승한 결과다.
부정 평가는 2주 전(58.3%)보다 4.2%포인트 하락한 54.1%로 집계됐다.
윤 대통령 긍정 평가 이유로는 ‘결단 및 추진력’(39.3%), ‘공정과 정의’(30.6%), ‘외교 및 안보’(9.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와 민생’(22.6%), ‘직무태도’(22.4%), ‘다양한 의견 청취 부족’(17.3%) 등을 꼽았다.
지지율 상승 이유로 결단과 공정과 정의를 꼽은 비율이 높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문재인 정권 5년의 과오가 드러날 수록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상승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근 감사원은 전임 문재인 정부에서 핵심 경제 지표들이 고의로 왜곡됐다는 의혹에 대한 감사를 강화하고 있다.
감사원은 집값, 소득, 고용 등 핵심 민생지표들이 정권의 경제 구호였던 ‘소득주도성장’과 ‘투기와의 전쟁’에 꿰맞춰졌다고 볼 만한 정황 증거를 상당 부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감사원은 이런 상황에 ‘윗선’ 청와대의 ‘입김’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 문재인 정부는 소득 주도 성장’을 내세워 최저임금을 급속히 올리자 취업자 증가 폭이 크게 줄고 하위 20% 계층의 근로소득이 37%나 급감했다. 그러자 통계 기준과 계산 방법을 바꾸고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 효과가 90%”라고 주장했다.
탈원전을 밀어붙이려 월성 1호기의 경제성을 축소 조작하고 부동산 실패를 감추기 위해 집값 통계도 왜곡하기도 했다. 널리 사용되는 KB금융 통계로는 서울 아파트 시세가 4년간 두 배 가까이 폭등했는데, 문 정부는 표본 수가 극히 적은 부동산원 통계를 근거로 “14% 올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작은 국민을 잠깐 속일 수는 있어도 진실은 언젠가 밝혀지게 돼있다.
글=최우석 월간조선 기자.